[사회복지, NGO] 한국 기독교 NGO운동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사회복지적 관점으로)
*호*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대학원 재학시절 제출한 보고서 입니다.보고서이기 보다는 논문에 가깝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2. 현대 시민사회에서의 시민운동과 NGO
1) 시민사회의 개념
2) 시민운동의 특성
3) NGO의 특성
3. 기독교 시민운동단체의 사회복지사업 전개와 의의
1) 기독교 사회복지사업의 당위성
2) 한국 개신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역사
4. 한국 사회변동과 기독교 NGO의 과제
(사회개발을 중심으로)
1) 사회개발의 의미와 과제
2) 사회변동에 따른 기독교 NGO의 역할
3) 기독교 NGO의 과제
5. 맺는말
본문내용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두드러진 현상의 하나는 시민정신과 시민운동이 사회를 이끄는 핵심적인 주체로 등장하는 것이다. 실제로 선진 외국의 시민운동단체들은 정부조직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유엔도 소위 이들 비정부단체 혹은 시민운동단체(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의 지원을 위한 특별 기구를 설치하고 갈수록 커지는 시민운동의 역할에 대비하고 있다. 오늘날 NGO는 시장경제, 정치권력과 함께 현대 사회를 이끌어 가는 제3의 부문으로 뚜렷히 자리를 잡고 있다. 현재 시민운동의 관심영역은 인권, 복지, 교통, 환경, 경제, 여성, 청소년 등 현대사회의 다양성 만큼이나 세분화되어 있다. 사회의 다원화 추세에 맞춰 관심 영역과 역할이 계속 증대할 것으로 여겨진다.그러나 한국사회의 시민운동은 80년대 후반에야 겨우 본격적인 태동기를 맞게 되었다. 80년대 중반까지 민주화 운동으로 결집된 사회운동단체들이 87년 대통령선거이후 분화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시민운동단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민간단체총람(1997)에 수록된 3,900개의 시민단체중 2,500개 단체가 87년 이후에 설립되었다. 그 이전에도 서노련, 인노련, 민총련 등의 대표적인 운동단체들이 있었으나 이념적인 무장을 통한 민주화 운동에 주력했고, 정확한 의미의 시민운동단체라기보다는 결사단체로서의 성격이 더 강했다.
이와같이 우리나라에서 시민운동의 활성화가 더딘 것은 우리사회의 근대화 과정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제 강점과 반공정치로 이어지는 한국 현대사에서 시민운동은 설 자리가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성향을 지닌 시민운동단체들은 강압적인 정치상황에서도 꾸준히 그 활동을 전개해 왔다. 특히 기독교 NGO들의 사회복지분야에서의 활동은 식민통치와 분단, 그리고 전쟁으로 초래된 시민사회의 절박한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는 것이었고, 선교의 중요한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국가 사회복지제도의 미비에 따라 방치된 소외계층을 구호하는 사회복지 부문에서의 기독교의 역할은 더욱 돋보이는 것이었다.
90년대 들어 우리 사회에서도 시민사회론과 이와 관련된 시민운동론이 본격적인 사회 논쟁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시민운동단체들도 급속히 증가하여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자유와 정의, 인권과 복지의 실현이라는 목적을 갖고 사회 전분야에 걸친 다양하고 구체적인 활동으로 그 개입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고 있다. 우리 사회도 이미 시민정신을 기반으로한 NGO의 역할이 상당한 위치를 차지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강문규. <시민참여의 시대>. 서울: 한울. 1995.김용창. "한국에서 새로운 사회운동의 올바른 논의를 위하여," <사상문예운동>. 1991
가을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사회선교 지침." 1984. 9. 5. 제69회 총회.
박영호. <기독교와 사회사업>. 서울: 예수교 문서선교회. 1979.
성규탁, 김동배, 은준관, 박준서.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 연세대 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1991
시민의 신문. <한국민간단체총람>. 서울: 시민의 신문 시민운동정보센타. 1997.
신광섭. "한국 기독교의 복지사적 고찰,"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 <교회사회봉사 편 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신광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경제와 사회>. 1991, 겨울호.
신명순. "한국에서의 시민사회 형성과 민주화 과정에서의 역할," <국가, 시민사회, 정치 민주>.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5.
유팔무.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이해와 한국적 수용의 문제," <경제와 사회>. 1991 겨울.
______. "시민사회의 성장과 시민운동," <경제와 사회>. 1995 봄호.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서울: 지식산업사. 1981.
이원규. "교회 사회봉사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 <교회사회봉 사편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정수복. <의미세계와 사회운동>. 서울: 민영사, 1994.
조대엽. "한국의 사회운동과 조직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1987-94," 고려대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1995.
조희연. "민중운동과 시민사회, 시민운동," <실천문학>. 1993 겨울호.
최종욱 외. <현대의 위기와 새로운 사회운동>. 서울: 문원, 1994.
United Nations, <Human Development Report, 1994>, UN, 1994.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타문화 선교와 사회복지, NGO 13페이지
- [사회복지] 교회사회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20페이지
- 칼빈주의와 웨슬레 신학 요약 8페이지
- [사회복지] 기독교 사회복지관의 정체성과 역할 5페이지
- [시민단체(YMCA 발표자료)] YMCA(발표자료)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