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처용랑과 망해사, 월명사의 도솔가의 문학적 민속학적 비교
- 최초 등록일
- 2004.04.02
- 최종 저작일
- 2004.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삼국유사에서 나오는 처용랑과 망해서, 월명사의 도솔가에 대한 자료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처용랑과 망해사의 문학적 및 민속학적 견해
(1) 작품개요
(2) 문학적 견해
(3) 민속학적 견해
2. 월명사의 <도솔가>의 문학적 및 민속학적 견해
(1) 작품 개요
(2) 문학적 견해
(3) 민속학적 견해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향가라는 명칭이 문헌상에서 사용된 범위는, 한국 고유의 노래라는 뜻으로 넓게는 삼국 이전의 시가로부터 좁게는 [서동요] 이후 신라의 정형가요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학술적 용어로는 향찰이라는 표기 체계로 신라에서 지어진 좁은 의미의 향가만을 지칭한다. 양주동은 향가의 다른 명칭 ‘새내’가 ‘신라’와 동의어로 보아 향가를 신라의 가요 즉, 사뇌가(詞腦歌)라는 이름으로 쓸 것을 주장한 적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문헌상에서 ‘사뇌가’라는 명칭은 향가 중 일부 작품군을 칭하는 것으로 주로 그 형식이 정돈되고 완성된 10구체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한자의 소리(音)와 뜻(訓)을 빌어 우리말을 표기한 문자가 향찰(鄕札)인데, 이 향찰문자로 기록된 향가문학은
1) 우리말을 우리 방식으로 처음 표현(기록)한 문자라는 점
2) 한역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가사가 전해오는 가장 오래된 시가라는 점
3) 향가 작품마다 배경설화가 동반되어 문학과 역사가 어우러진 예술이라
는 점
등이 우리 문학사도 큰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문학으로나 역사로써 높이 평가되고 있는 향가들 중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전해지는 "처용랑과 망해사"와 "월명사의 도솔가"는 다른 향가에 비해 학자들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루어지는 만큼 학자들마다 주장하는 해석과 의미들도 매우 다양하다.
참고 자료
* 이동환 『삼국유사』 장락 1994
* 정렬모 『향가 연구』 한국문화사 1999
* 김종규 『향가의형식』 도서출판 대한 1994
*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 김인배, 김문배 『전혀 다른 향가 및 만엽가』 우리문학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