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교육과정의 구성절차
- 최초 등록일
- 2004.03.30
- 최종 저작일
- 2004.03
- 55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소개글
파워포인트로 만든 발표자료입니다.
정성들여 만든 것이니 바로 발표하셔도 손색이 없을 겁니다.
교수님께 함께 제출한 참고자료가 있는데 같이 업로드가 안되니 해피포인트로 사실 수 있도록(저렴하게) 같이 올려놓겠습니다.(모두 5개)
많은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1. 교육목표의 설정
2. 학습내용의 선정
3. 학습내용의 조직
4. 단원의 구성과 전개
5. 평가
본문내용
교육목표의 설정
교육목표의 개념
학습과정이나 학습경험을 통해서 학생에게 이루고자 하는 행동의 변화
가네(R. M. Gagne)
관찰 가능한 인간성취
교육목표의 기능
교육활동의 방향 제시
교육내용의 선정근거 마련
학습평가의 기준
교육활동을 통제
교육목표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과정과 교육성, 평가와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학생에의 타당성
교육목표는 학생의 흥미, 필요, 문제, 목적 등에 가능한 한 타당한 것이라야 한다.
그러므로 준비성, 계속성, 발달의 통합성,발달과업, 인지발달 등은 교육목표에 많은 시사를 준다
사회에의 타당성
교육목표는 문화의 문제, 필요, 방향에 가능한 한 타당한 것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문화를 분석해야 한다.
학과에의 타당성
교육목적은 문화재로서의 학과의 교육적 기능에 가능한 한 타당한 것이어야 한다. 즉, 교육전문가의 교과에 관한 의견이나 교과 자체의 지식 등은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이 된다
철학 · 이념의 타당성
교육목표는 투철하고 조화된 철학적·이념적 입장이 타당하게 살아 있어야 한다. 국가사회의 이념이 재해석과 번역과정을 거쳐서 반영되어야 한다
학습심리에의 타당성
교육목표는 학습과정을 통해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학습심리의 원칙에 타당한 것이라야 한다.
참고 자료
사회과통합교과교육론 김현석 2003 형설출판사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길형석·손충기 2003
사회과교육론 형설출판사 1994 오영태
사회과 지역화 교육과정의 수업목표 분석 - 전국 초등학교 4학년1학기 「사회과 탐구」를 중심으로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고용찬
Marsh, C. J.(1992), 교육과정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 박현주 역, 교육과학사.
박도순, 홍후조 공저(1999),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