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위생 시행
2. 필요한 물품 준비(한번에 한 환자 채혈만 준비)
3.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 이름 확인 후 환자 확인 팔찌와 검체바코드 대조하여 이름, 등록번 호 확인(2차 환자확인)
4. 채혈의 목적과 방법 설명한다.
5. 채혈을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팔을 노출시킨다.
6. 굳고 곧으며 탄력적인 혈관선택
* 팔 : Median cubital vein(정중주정맥)
- 가장 많이 사용
- 주변에 신경이나 동맥 없음
- 통증 가장 적음, 혈종 발생 위험 가장 낮음
Cephalic vein(요측피정맥)
- Median cubital vein 다음으로 선택
Basilic vein(척측피정맥)
- 상완동맥과 신경이 근접하여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
* 손등 : 팔에서 채혈이 어려운 경우 선택
당뇨환자는 가급적 금지
* 발과 발목부위 : 가급적 사용을 피하고 IV가 있을 경우 가능하면 빨리 옮기기
[채혈 금지 부위]
- 화상 흉터가 있는 곳
- 유방절제술을 받은 쪽의 팔(림프 흐름 방해)
- 심한 멍이 있거나 부은 곳
- AV fistula
- IV catheter를 삽입하고 있는 사지
7. 선택한 부위로부터 10~15cm 위에 Tourniquet적용 ( 2분이상 적용하지 않도록)
8. 선택한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5~8cm 정도 원을 그리듯 소독한 후 (최소 6회 이상) 소독액 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
9. 정맥 천자 부위의 위쪽이나 아래쪽 2~3cm 떨어진 부분을 한 손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기고 다른 손으로 주사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은 후 15~30도 혈류 방향을 따라 삽입한다.
10. 원하는 양만큼 채혈 후 tourniquet을 제거하고 알코올 솜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주사기를 제거, 제거 부위는 마사지 하지 말고 2~3분간 압박하여 완전히 지혈한다.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임상화학검사’
· 2012 대한내과학회지 심부전 관련 biomarkers : BNP를 중심으로
· 2018 대한심부전학회 만성 심부전 진료지침 업데이트
· 2016 대한심부전학회 만성 심부전 진료지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