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M 케이스 - 비효과적 건강관리, 감염위험성, 역할 부담(진단3개, 과정2개)
- 최초 등록일
- 2023.03.26
- 최종 저작일
- 2022.11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간호과정
2. 간호기록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건강문제 선정 이유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을 한 여성, 특히 30세 이상과 비만 등 고위험 임신의 유발 요인을 가진 임부에게서 집중해서 사정해야 하는 질병으로서 때문에 꾸준하게 식이, 운동, 인슐린을 통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고령 임신이 늘고 있는 만큼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 역시 늘고 있는 추세이다. 임신성 당뇨병은 분만 후에도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있는 병이지만 임신기간과 분만 후에 적절한 관리를 한다면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간호사라면 이 질병에 대해 알고 대상자에 맞게 간호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임신성 당뇨를 사례연구보고서의 간호 문제로 선정하였다. 시나리오 안에는 30세 이상의 임부, 비만, 고혈압 등의 임신성 당뇨병의 유발요인을 넣었고 식이, 운동 등을 산모와 가족들이 잘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GDM에 대한 통계 자료
2022년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 빈도는 매년 1~2%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다음 임신 시 재발의 위험이 50% 정도라고 한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약 5~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1990년대에 1.7~3.9%였으나, 2007년에는 임신부의 4.1%, 이후로 매년 1~2%씩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10.5%로 보고되었다고 한다. 또한 최근 통계인 2017년 15.8%에서 2020년 17.9%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렇게 계속해서 임신성 당뇨가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초산 평균 나이가 지난 10년간 2년 늦어진 33.4세로 상승한 것이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20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출산 여성 4명 중 1명이 임신성 당뇨 질환을 갖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참고 자료
안숙희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12판. 서울: 현문사; 2021.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1판. 서울: 고문사; 2021.
전미양 외. 기본간호학Ⅰ. 8판. 서울: 수문사; 2020.
김정애 외.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1판. 서울: 수문사; 202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GDM 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71
서울아산병원 <자가혈당측정법>
https://www.amc.seoul.kr/asan/depts/dm/K/content.do?menuId=1468
서울아산병원 <칸디다성 질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29
김정애 외.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