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어에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의 실태와 유형, 그리고 그 배경에 대하여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03.19
- 최종 저작일
- 2023.0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음화 현상의 개념
2. 경음화 현상의 실태
1) 경음화의 실제발화 분석
2) 경음화의 인지 불일치 발화 분석
3) 경음화의 선택발화 분석
3. 경음화 현상의 유형
1) 통사적 합성어
2) 비통사적 합성어
3)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
4. 경음화 현상의 배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음화 현상은 발음의 원리에 따라 규칙적으로 음운현상으로 이러한 규칙성을 통해서 발음에 대한 원리적인 측면을 이해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 발음에 대한 규칙적인 원리가 규범의 내용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말소리와 어법이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경우의 어휘에서 경음화 현상은 어휘사의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생각해보게 한다. 일부 어두경험화가 일어나는 상황은 외국어와 구별되어지는 우리말 자음 체계의 특성을 알 수 있게 한다는 것으로도 교육적으로 유의한 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남가영, 2008). 경음화 현상의 문법내용들을 경험하게 되면 그 원리를 찾게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어문 규범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경음화 교육에 대한 내용의 본질이다. 하지만 경음화 현상을 학습현장에서 교육 내용으로 사용할 때 타당성을 위해서는 경음화 현상 교육 방법에 대한 모색 보다는 학습을 위한 교육내용의 조직과 그에 따른 음운에 대한 탐구 학습이 더 필요하다.
음운현상에서 특히 경음화 현상을 주목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문법을 모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언어습득을 하는 과정에서 내재화 해가는 체계적인 규칙이라고 정의(김광해 외, 1999)할 때 중등학교에 다녔던 학생들이라면 의식을 하던 의식하지 않던 내재되어 있는 언어 운영 규칙 체계인 문법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체계적인 경음화나 수의적으로 된 경음화 현상의 내재된 체계는 학습자들의 발화 현상을 통해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교육 내용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주세형, 2011).
학습 현장에서 예를 들면 학습자들이 ‘구기다’를 ‘꾸기다’로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명숙(2013)에 따르면 어두경음화 현상은 세대나 지역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지만 특히 젊은 세대로 갈수록 증가한다고 한다.
참고 자료
강경민(2020), 한국어 관형절의 담화 화용적 기능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김광해, 권재일, 임지룡, 김무림, 임칠성(1999), 국어지식 탐구, 박이정.
김수정(202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연구: 말뭉치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가영(2008), 문법탐구 내용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지윤(2021), 외래어 어두경음화 발음의 원인과 사회계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2호, 421p-430p.
이현영(2014), 경음화 현상의 음운 교육 내용화 연구: 중등학교 학습자의 언어 실태 조사를 바 탕으로,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세형(2011), 해암선생이 남긴 국어 규범 교육의 원리, 선청어문 39.
한명숙(2013), 용언의 어두경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 겨레어문학 51, 겨레어문학회.
경기인저널, http://www.gijn.kr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