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
2-1. MRI 의사소통 이론
2-2. 헤일리 기법
2-3. 밀란 모델
3.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의 공통점과 차이점
4. 평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가족치료는 개인의 문제의 원인은 개인 내부에만 존재한다고 보는 종전의 관점에서 벗어나 개인을 둘러싼 가족원들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인식하고 문제 증상이 역기능적 가족체계와 관련이 있다는 전제 하에 관계지향 접근 방식을 취하는 치료방법이다. 가족원들의 상호교류 패턴에 개입하여 개인의 증상이나 행동에 있어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가족치료의 과정에서 저명한 심리학자 및 정신과 의학자와 인류학자들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다양한 이론적 모델들을 등장 · 발전시키게 되는데 전략적 가족치료는 가족치료의 다양한 치료적 개입 방법들 중 하나이다. 본 과제를 통해 전략적 가족치료 주요 모델들인 MRI 의사소통 이론, 헤일리 기법, 밀란 모델의 특징과 함께 각 모델들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
전략적 가족치료는 베이트슨의 조현병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 의사소통이론(Communication Theory)으로부터 시작하여 MRI의 단기치료모델, 헤일리(J. Haley)와 마다네스(C. Madanes)의 전략적 치료, 그리고 밀란의 체계론적 모델의 세 가지로 각각 발전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Michael P. Nichols , Sean D. Davis,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김영애 옮김, 시그마프레스, 2017, pp.141~174
· Dorothy Stroh Becvar , Raphael J. Becvar, 「가족치료 체계이론적 통합」, 정혜정 외 3 옮김, 시그마프레스, 2016, p.243~272
· 정문자 외 3,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2018, p.257~25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