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지역사회 간호사정
1. 지역사회 특성
2. 인구학적 특성
3. 지역사회 자원 및 환경적 특성
4. 건강수준 및 건강행위
5. 자료분석
II. 지역사회 간호진단
1. 간호진단
2. 우선순위
III. 지역사회 간호계획
1. 목표설정
2. 수행계획수립
3. 평가계획수립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지리적 특성
- 중랑구는 서울 동북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의 망우산, 남쪽 용마산, 북쪽 봉화산, 서쪽 중랑천으로 둘러싸인 동고서저의 경사형 분지로 자연녹지가 많고 일반주택과 아파트가 혼재한 주거중심 도시이다. 경기북부, 강원지역 관문으로 망우로와 중앙선 철도가 중랑구 동서를 관통하고 동일로와 용마산길, 지하철 7호선이 남북으로 관통하는 서울 동북부의 교통 요충지로 지속적인 도시개발을 통해 역세권을 중심으로 대규모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대규모 택지개발과 노후한 주택정비사업 등으로 도시재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도시이다.
- 중랑구의 면적은 서울시 전체의 3.1%인 18.53㎢이며 이 중 58.39%가 주거지역, 39.57%가 녹지지역, 1.94%가 상업지역이다.
2) 지역경제 특성
(1) 지역내총생산(GRDP)
- 중랑구 2017년 1인당 지역내 총생산(GRDP)은 10,723천원으로 서울시 평균 55,324천원보다 낮아 서울시 전체에서 하위 4번째로 나타나 경제 규모와 수준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분석된다.
(2) 산업구조
- 중랑구 사업체는 총 27,285개로 서울시 평균 사업체수 32,825개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산업별로는 운수업(6,225개) > 도소매업(5,540개) > 숙박 및 음식점업(4,010개) > 제조업(3,440개) > 협회 및 단체 등 개인 서비스업(2,719개) 의 산업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동별 사업체수를 살펴보면 망우본동(3,801개) > 면목본동(2,544개) > 중화2동(2,169개) 순으로 많았고 사업체가 적은 지역은 면목5동(826개) < 중화1동(1,092개) < 신내2동(1,110개)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망우로, 동일로, 면목로 등 도로변과 역세권 그리고 일반주택이 많은 지역에 분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