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lorence Nightingale(1860) 나이팅게일 ▶“나이팅게일 이론”
2. Hildegard E. Peplau (1952) 힐데가르드 페플라우 ▶”대인관계 간호이론”
3. Virginia Henderson (1955) 버지니아 핸더슨 ▶”욕구이론”
4. Martha E. Rogers (1970) 마사 로저스 ▶”인간고유성 이론”
5. Dorothea E. Orem (1971) 도로시아 오렘 ▶”자기돌봄 결핍이론”
6. Betty Neuman (1972) 베티 뉴만 ▶”체계모형이론”
7. Roy (1976) 로이 ▶”적응이론”
8. Jean Watson (1979) 진 왓슨 ▶”돌봄의 과학이론”
9. Rosmarie Rizzo Parse (1981) 로즈마리 파시 ▶”인간되어감 이론”
본문내용
1. Florence Nightingale(1860) 나이팅게일 ▶“나이팅게일 이론”
<1> “간호를 의학과 구분된 전문적 노력으로 인식한 것은 나이팅게일로부터 시작하였다.”
● 간호행위를 종교적인 소명으로 여기고 교육을 강하게 지지→간호의 전문화를 설립하는데 있어서 소명과 교육이 결정적인 요소라고 믿음
● 나이팅게일의 간호학에 영향을 준 요소: 개인적, 사회적, 전문적 가치관→모두 집결시켜 통합된 지식과 개념적 사고능력의 발전을 꾀함
<2> 이론의 주요개념
● 자연적인 치유로 환자를 최상의 조건과 최적의 환경에 두는 것→건강한 환경과 간호의 상호관련성
● 나이팅게일 이론에서의 질병: 하나의 회복과정이라고 생각함, 중독이나 부패의 한 과정을 치유하기 위한 자연의 노력 또는 사람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반응
<3> 이론과 메타패러다임
1) 인간: 저서 대부분에서 인간을 환자로 언급→인간은 간호를 제공받거나 환경의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자신을 회복시킬 수 있는 자연적인 힘을 가진 존재
2) 건강: 잘 있는 상태만이 아니라 개인이 최대한으로 역량을 발취함으로써 안녕을 유지하는 것→질환예방을 위하여 환경요인을 통제함으로써 유지
3) 간호
● 자연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환자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
● 인간의 회복과정을 증진하기 위하여 적정상태를 마련하며 회복과정에서 방해요인을 막는 것
4) 환경(surroundings)
● 나이팅게일의 이론의 토대: 유기체의 삶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외적인 조건과 힘
● “surroundings”을 이루는 요소: 환기, 보온, 빛, 식이, 청결, 소음 (식이 개념도 포함)
● 환경의 3가지 유형
⇒ 환자간호에 있어서 전반전으로 물리적인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간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찰력을 강조
⇒ 무엇보다 특히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적절한 간호를 위해 위생적 환경이 필요하는 것 (환기, 보온, 빛, 식이,청결, 그리고 조용함이 주요개념으로 포함)
참고자료
· 김지미 외 공저, 『간호학 개론』, 계축문화사, 2019, p35~51
· 김혜원 외 공역, 『간호이론가와 이론 Ⅰ, Ⅱ』, 대학서림, 2016(개정 8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