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절,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과평가,프로그램,사회복지프로그램,공동모금회,프로그램개발,다문화,아동,아동복지,사회복지 프로그램
목차
1. 사업명
2. 사업 내용 및 추진전략
3. 예산 편성
4. 문제의식(사업 필요성)
5. 목표 및 평가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 정체성 발달의 가장 큰 문제는 따돌림 등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을 꼽을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국제결혼가정 아동은 10명 중 2명 정도가 집단 따돌림을 경험(조영달, 2006)하는데 그 이유는 ‘의사소통의 어려움(20. 7%), ‘특별한 이유 없이’(15. 9%), ‘엄마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13. 4%), ‘태도와 행동이 달라서’(13. 4%), ‘외모가 달라서’(4. 9%)순이다(설동훈 외, 2005:138-139). 이를 유목화하면 외모나 엄마의 국적 등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특별한 이유 없이, 엄마가 외국인이어서, 외모가 달라서)에 의한 따돌림이 34. 2%이고, 다수의 국제결혼가정 아동이 후천적 환경, 즉 의사소통이나 문화적인 차이에 의해 갖게 된 문제에 의한 따돌림이 34. 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즉, 국제결혼가정 아동이 경험하는 따돌림의 대부분(68. 3%)이 스스로 바꿀 수 없는 선천적 차이나, 그들의 가정환경으로 인하여 피하기 어려운 후천적 문제 때문에 일어난다는 것이다. 특히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능력은 비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능력보다 낮게 나타나며 이것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늘어나게 된다. 언어발달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언어발달의 결정적 시기인 5세와 6세에서 지체 정도가 심해졌음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단일어 발화빈도도 높게 나타나며 한정된 어휘 사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의사 전달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지윤, 2007)
더불어 증가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업 성취 및 학교생활 문제는 요즘 교육계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 분야이다. 외국인 근로자 특히 불법체류자 자녀의 경우 신분상의 불안이나 경제적 이유로 국내 학교에 재학하는 비율이 높지 않아 교육권 자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결혼이민에 의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경우 어머니가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못했더라도 출생 후 아버지의 국적에 따라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되며, 따라서 헌법상의 교육권은 보장받게 된다.
참고자료
·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황 성철 공동체
· 프로포절 작성의 실제 김 승의 공동체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프로포절 사례집 2011
· 사회복지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강 병로 나눔의 집
· 사회문제론 박 정호 여 진주 신정
· 보건복지가족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