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A+ 고분자가공실험 uv경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실험의 목적
2) 실험의 이론
3) mechanism
2. 실험 방법
1) 가설
2) 실험 기구 및 재료
3. 실험 결과
1) 실험 결과
2) 결과 분석
4. 고찰
5. 결론
본문내용
1-1. 실험의 목적
개시제를 넣은 용액과 넣지 않은 용액을 각각 UV경화시킨 뒤, 두 용액에 대한 물성의 변화를 비교해본다.
1-2. 실험의 이론
∙ 올리고머(oligomer)
올리고머란 단량체(monomer)와 중합체(polymer) 사이의 화합물 중간체로, 기본 구성단위인 단량체의 수가 약 10개 이하로 중합된 분자를 의미한다.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등을 올리고머라고 한다. 중합 정도가 높은 고분자와 달리 낮은 중합도로 이루어진다. 올리고머는 UV경화형 시스템의 최종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주형 가능한 고분자의 중간 원료나 접착제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보통 공정에서는 올리고머 성분이 반응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용매로서 재사용하지 않는다.
∙ 모노머(monomer)
Mono(하나)와 mer의 합성어인 모노머는 한 단위라는 뜻을 가지며, 단량체(단위체)를 의미한다. 중합체(고분자)의 원료가 되는 저분자화합물로, 중합체를 구성하는 반복단위를 가리킨다. 단량체가 2, 3, 4개 결합한 것을 각각 이량체(dimer), 삼량체(trimer), 사량체(tetramer)라고 하며, 이러한 여러 개로 이루어진 형태의 저분자량 화합물들이 올리고머이다. 단위체는 반드시 이중 결합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하며, 쉽게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가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참고자료
· [접착 및 계면 제4권 제3호] 도현성⦁김대준⦁김현중, UV경화형 소재의 응용, 2003년
·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314960614490.pdf
· [폴리머 제23권 제3호], 유재원⦁김대수, 우레탄-아크릴 수지의 UV 경화 및 기계적 특성, 1999년 5월
· U-HITEC 홈페이지
· http://u-hitec.co.kr/
· LIIM TECHNOLOGY 홈페이지
· http://www.liim.co.kr/
· [접착 및 계면 제18권 제4호],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반응성 희석제 함량에 따른 물성 연구, 심재학⋅서은선⋅이원영⋅김구니, 2017년
· [폴리머 제 38권 제 4호], 윤홍범⦁김호겸⦁민경은, 광개시제의 종류에 따른 2-EHA/AA 접착제의 접착특성, 2014년
· [폴리머, 제39권 제2호], 김호겸⦁민경은,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MMT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성질과 내흡수성에 대한 광개시제의 영향, 2015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