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아동간호학] A+ 레포트, 분만 직후 신생아 사정 및 간호(신생아의 특성, 정상 및 비정상 소견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신생아의 출생 직후 건강 및 신체 사정
1. 출생 초기 사정
2. 신생아의 신체 사정
1) 일반적인 신체계측
2) 활력징후
3) 전반적인 외모
4) 피부
5) 머리
6) 눈
7) 귀
8) 코
9) 입
10) 목
11) Chest & Lung
12) 심장
13) 복부
14) 여아 생식기
15) 남아 생식기
16) 등과 항문
17) 사지
18) 신경 근육계
3. 신생아의 행동 사정
4. 애착 행동 사정
본문내용
1) 일반적인 신체 계측
■ 체중
- 출생 직후 측정 : 2700~4000g, 평균 3,400g
- 적정 체중 : 10~90% ➜ 과대 : 90%↑
과소 : 10%↓
출생 시 체중과 재태기간이 낮을수록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음
- 출생 후 3~4일까지 출생체중의 10% 정도 감소 : 제한된 음식물 섭취, 세포외액의 손실, 태변 배출
생후 10~14일경 복구
■ 머리둘레
- 33~35.5 cm (13~14 inch)
출생과정에서 molding으로 인해 머리둘레가 약간 작을 수도 있으며, 출생 2~3일이 되어야 정상 크기, 윤곽을 갖춤
머리둘레보다 가슴둘레가 큼 : 소두증, 두개골 유합증 의심
머리둘레가 가슴둘레보다 4cm 이상 큰 경우 : 수두증 고려
기타: 산류, 두혈종, 건막 하 출혈, 지주막하 출혈, 경막하 출혈
■ 머리엉덩이길이 (31~35cm)
머리둘레보다 2cm 크거나 같음
embryo 나 fetuse의 재태 연령을 확인하기 위해 머리끝에서 엉덩이 아랫부분까지의 길이를 잰 것
자궁 내 성장을 평가하는 기준
■ 복부둘레
복부팽만이 있는 경우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측정
제대 바로 위
2) 활력 징후
■ 체온
- 심부체온 (3분) : 36.5℃~37.5℃
액와체온 (5분) : 0.2℃ 정도 낮게 측정 -> 36.5℃~37℃
But, 액와체온이 높을 수 있음
수은 체온계, digital 체온계, 적외선 액와체온, 측두동맥 체온
digital 체온계가 수은 체온계보다 평균 0.3℃ (0~1℃) 높게 측정되는 경향
수은 체온계가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방법이지만 위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