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케이스(case) - Dissection of aorta(대동맥 박리) - A+
- 최초 등록일
- 2023.02.05
- 최종 저작일
- 2021.04
- 6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케이스(case) - Dissection of aorta(대동맥 박리) -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2. 결론
본문내용
대동맥은 심장의 왼심실과 연결되어 있는 동맥으로 오름대동맥, 대동맥활, 내림가슴대동맥, 배대동맥으로 이어진 후 하복부에서 두 갈래의 온엉덩동맥으로 갈라지면서 끝나는 동맥의 큰 줄기이다. 뇌, 팔 다리, 및 내장기관을 포함하는 온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모든 동맥들이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다.
급성 대동맥 박리는 초기 사망률이 시간당 1%에 달하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24시간 이내 사망률은 약 25%, 1주 이내 약 50%, 1달 이내 약 75%, 1년 이내 약 90%에 이르는 매우 위험한 응급 질환이다. 그러나 성공적으로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의 생존율은 대동맥 박리가 없는 연령층과 차이가 없고 5년 생존율은 75~82% 정도이다. 따라서 발병 초기 치료가 예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경우 심장혈관(관상동맥)의 폐쇄로 인해 심근 경색 및 심지어 이로 인한 급사도 발생할 수 있고, 대동맥 판막을 침범하여 다양한 정도의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선택한 이유는 실습을 하면서 처음으로 발에 얼굴과 가슴을 맞았다. 이후 환자에게 어떤 질환으로 인해 무슨 수술을 받으셨고 얼마나 아프셨으면 이렇게 아파 하시는지 의문이 들었고 환자의 EMR을 보니 대동맥 박리에 관련된 수술을 받으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잘 모르지만 관심이 생겨 질환에 대해 찾아보니 대동맥은 온몸으로 가는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곳으로 대동맥 박리로 인해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시행하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한다. 직접 느껴보지는 못했지만 신체적,정신적 변화에 의해 환자가 많이 힘들어 할 수 있겠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환자에 대해 더 알아가고 싶고 해당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상자가 입원 후 수술, 퇴원까지 건강한 모습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싶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대동맥 박리의 원인,발생기전,치료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치료와 회복에 도움이 되는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제7판(현문사) 황옥남 외 8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800&cid=51004&categoryId=51004
아산병원 홈페이지
약학정보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