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육아는 오로지 여성의 몫이었다. 그러나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육아 담당의 주체를 여성에게만 맡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물론 이러한 세태에 따라 남성 역시 여성과 함께 육아를 담당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이겠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통적으로 육아는 여성의 몫이었던 까닭에 남성이 자연스럽게 육아의 주체자로서 참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저 출산이라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여성의 사회 진출과 저 출산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했다고 하여 그것이 저 출산이라는 결과로 곧바로 이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나 남성의 육아 참여율과 저 출산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OECD의 연구 결과 밝혀졌다. 실제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타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남성의 육아 참여율이 낮은 폴란드와 일본의 경우, 출산율 역시 낮은 편에 속하였다.
참고자료
· 출산율 ‘꼴찌’ 한국… 남성 육아 분담 낮은 탓도,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2/05/03/62MCAK4IWZGTDENFXV3ZYMCXYQ/
· "아빠 육아휴직 늘어났다지만 여전히 눈치 많이 봅니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444
· 박미진. (2020). 부성휴가제도가 남성 돌봄시간에 미치는 영향 - 노동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정책, 47(3), 153-17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