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정의
뇌졸중(stroke)은 뇌의 혈액공급 장애로 인해 신경학적 변화가 나타난 상태를 말한다.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와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으로 나뉜다. 허혈성 뇌졸중은 주로 혈전 또는 색전에 의한 뇌의 혈액공급 장애로 인해 발생하고,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도 불리운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② 원인
허혈(ischmia)은 뇌의 혈액공급이 부분적으로 차단되거나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허혈은 주로 혈전이나 색전으로 인해 초래되는데, 혈전성 뇌졸중이 색전성 뇌졸중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뇌졸중은 내경동맥, 전뇌동맥, 중뇌동맥, 후뇌동맥, 척추동맥 및 기저동맥과 같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혈관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주요 혈관의 가지에 해당되는 작은 혈관에서도 발생한다.
혈전증(thrombosis)은 주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이 주요 원인이 되어 발생된다. 죽상경화증은 혈관벽에 지방물질이 축적되어 퇴적물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혈관협착(angiostenosis) 또는 혈관폐색(vasoocclusion)이 일어나게 된다.
색전증(embolism)에 의한 뇌동맥폐쇄(cerebral occlusion)는 색전성 뇌졸중을 일으키며, 뇌의 바깥 부위의 색전이 뇌동맥에 유입된 후, 뇌혈류를 따라 순환하다가 특정한 부위를 막아 폐쇄시키게 된다.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은 뇌혈관이 파열되어 뇌조직 내로 출혈이 일어난 것을 말한다. 뇌출혈은 고혈압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호발 연령대는 50세 이후이다.
③ 병태생리
근육과 다르게 뇌는 산소와 포도당이 없는 경우, 혐기성 대사를 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뇌혈류가 조기에 복구되지 않으면, 뇌조직은 경색이 초래되거나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게 된다. 산소가 3~10분 이상 공급되지 않을 경우, 뇌세포가 사망함으로써 영구적인 변화가 초래된다.
참고자료
· 간호학과 임상적용을 위한 성인간호학I, II. (2020). 이영휘 외 공저. 학지사메디컬.
· 여성건강간호학II. (2020). 박영주 외 공저. 현문사
·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송파구 보건소 일반소변검사
· 연세의료원 세브란스 요침사
· 약학정보원
· 질병관리청 건강정보포털 뇌졸중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