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1) 입원상태 및 병력
2) 정신적, 정서적 상태
3) 일반정보
4) 건강과 관련된 정보
5) 간호진단을 위한 신체사정
2. Case study
1) 간호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과 특성
2) 간호대상자의 진단을 위한 검사
3) 간호대상자의 약물요법
4) 간호과정
가. 호르몬 과다 분비와 관련된 체액 과다
나. 전신쇠약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다. 외모∙신체적 변화와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명
쿠싱증후군 Cushing Syndrome
병태생리
코르티솔의 분비가 많아지면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코르티솔 농도를 감지해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과 부신 피질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는 음성되먹이기 기전을 통해서 일정한 코르티솔 농도를 유지되나 쿠싱증후군에서는 코르티솔의 작용의 과다로 다양한 증상이 발생함
원인
문헌조사
코티솔 투여로 인한 외인성과 내인성은 뇌하수체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인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쿠싱병, 이소성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증후군, 부신선종, 부신암, 결절성 증식증 등으로 나눌 수 있음
사례대상자
부신피질에 발견된 종양으로 ACTH 의존성 쿠싱증후군 진단받음
증상
문헌조사
고혈압, 피로감과 쇠약감, 다모증, 여드름, 당뇨, 무월경, 남성화, 가장 흔한 증상은 달모양 얼굴(moon face) 안면피부의 홍조, 목 부위의 물소 혹, 중심부에 지방 축적되나 팔, 다리에는 살이 찌지 않는 증상, 우울, 수면장애, 골다공증 등이 나타남
사례대상자
혈액검사상 cortisol 수치 263(정상 120-260), 얼굴홍조, moon face, 다모증, 복부에 비해 가는 팔다리, 미열(37.5℃), 침상생활 유지 등 깊은 우울감
치료
문헌조사
증상완화 목적으로 mitotane 사용, Cortisol 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aminoglutethimide, metyrapone 투여, ACTH의 생성을 방해하기 위하여 Cyproheptadine을 사용하며 경접협동 접근에 의한 미세선종 절제술, 방사선치료, 감마나이프, 부신절제술(평생 스테로이드호르몬 보충) 실시함
사례대상자
ALDACTONE FILM COATED TAB. 25mg, KETOCONAZOLE TAB 200mg, 영일페리악틴정(시프로헵타딘염산염수화물) TAB 4mg, Lysodren Tab. 500mg 약물로 obs 후 부신절제술 OP 예정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Ⅱ. 25장. 내분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윤은자 외. 수문자:파주. 2021.02.2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