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킨 게임
- 어떤 문제를 둘러싸고 대립하는 상태에서 서로 양보하지 않다가 극한으로 치닫는 상황. 1950년대에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한 자동차 게임의 이름에서 유래하 였다. 둘 중 하나가 차의 핸들을 꺾지 않으면, 결국 충돌해 둘 다 죽는다. 만일 둘 중 하나가 핸들을 꺾으면, 다른 운전자는 승리자가 되며 둘 다 죽을 이유도 사라진 다. 이 경우 핸들을 꺾은 사람은 치킨(chicken)이 된다. 즉 치킨이 겁쟁이(coward) 란 뜻이다.
(2) 제로섬 게임
- 게임에 참가하는 양측 중 승자가 되는 쪽이 얻는 이득과 패자가 되는 쪽이 잃는 손실의 총합이 0(zero)이 되는 게임을 가리킨다. 즉, 내가 10을 얻으면 상대가 10 을 잃고, 상대가 10을 얻으면 내가 10을 잃게 되는 게임이다.
(3) 윈윈 게임
- 경쟁 관계에 놓인 쌍방이 모두 이기는 게임.
(4) 죄수의 딜레마
- 죄수의 딜레마란 두 사람의 협력적인 선택이 둘 모두에게 최선의 선택임에도 불구 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한 선택으로 인해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나쁜 결과를 야기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죄수의 딜레마는 비-제로섬 게임의 일종으 로 서로를 배반할 경우, 상대방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 한 자신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 내쉬 균형에 이르게 된다.
<중 략>
(1) 황금낙하산
- 인수 대상 기업의 CEO(최고경영자)가 인수로 인해 임기 전에 사임하게 될 경우를 대비해 거액의 퇴직금, 저가에 의한 주식 매입권(스톡옵션), 일정기간 동안의 보수 와 보너스 등을 받을 권리를 사전에 고용계약에 기재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기업의 인수 비용을 높이는 방법. 경영권 방어를 위한 대표적인 전략의 하나이다.
(2) 유동성의 함정
- 유동성 함정은 명목 단기이자율이 0 또는 0에 가까운 상태로 ‘통화정책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상태’로 정의한다. 유동성 함정은 본래 케인지안의 주장이다. 케인 지안의 이론에 따르면 통화공급량이 물가와 산출량에 미치는 영향은 명목이자율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이자율이 하락한다. 이자율의 하락은 투자 와 소비수요를 확대하여 산출량을 증가시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