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화공생물공학실험]DNA 제한효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토의 사항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가. Lambda DNA를 임의의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이를 전기영동을 하여 사용된 제한효소의 기작 및 DNA의 대략적인 구조를 분석한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실험 배경
제한효소는 핵산의 분해요소 중 하나로 DNA의 특정 염기배열을 식별하고 2중 사슬을 절단하는 endonuclease이다. 유전공학 분야에서 재조합 DNA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효소이다. 제한효소는 소단위체의 구성형태, 절단 위치, 절단 서열의 특이성 및 효소의 구성에 따라 3가지 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한효소가 DNA를 절단하는 부위는 두 종류로 분류 가능하다. 하나는 점착성 말단, 다른 하나는 비점착성 말단이다. 점착성 말단은 잘린 부위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말단을 말하고 비점착성 말단은 돌출부위가 없는 말단을 뜻한다. 또한,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한 말단은 ligase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효소에 의해 생성된 점착성 말단이 상보적일 경우 DNA ligase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제한효소에 잘린 말단이 상보적으로 염기 서열이 배열되어 있으면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뜻이다. 약 3000여가지의 제한효소가 발견되었다. 또한 제한효소의 인식부위의 염기서열이 5’에서 3’방향으로 읽던 3’에서 5’방향으로 읽던 대칭인 서열이 있는데 이를 회문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HindⅢ가 있다. 1형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부위를 인식하지만 인식하는 염기서열로부터 약 1000 base pair 이상 떨어진 곳에 있는 DNA를 절단한다. 1형 제한효소가 인식하는 부위는 비대칭적으로 두 부분 구성되어 있다. 이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된 DNA는 전좌에 이용된다. 원하는 부위를 선택해 자르기 어렵기 때문에 실험목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참고 자료
화공생물공학실험,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박상진 등 8명,2021, pp.5-7.
분자생물학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최준호, 2013, pp.70-80
캠벨 생명과학, 10th ed., ㈜바이오사이언스출판, Campbell 외 6인, 2016, pp.409-410
단위조작, McGraw-Hill, 이화영 외 2인, 7th edition, pp.619-638.
분자생물학실험서, 김영희, 월드사이언스, 2008, pp.98-102.
생화학, 3th edition, Garrett R.H & Grisham C.M, 라이프사이언스, 2006, pp.50-63.
대학미생물학, 제8판, 민경희, 탐구당, 2000, pp.449-458.
Modern Experimental Biochemistry, 3rd Edition, Prentise Hall, Boyer R.F, 2000, pp.89-95.
분자생물학 ,심웅섭외 6인, 월드사이언스,1999, p386 ~ 387 차. 유전자의 분자생물학, J.D Watson외, 탐구당, 1991, p269-279, 343-346,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