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듣기 교육에 대한 인식 발전과정
Ⅲ. 듣기의 개념
Ⅳ. 듣기 영역과 타 영역간의 연계성 연구
Ⅴ. 듣기교육과 관련되는 교육 영역들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의 목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한국어 학습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여기서 의사소통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먼저 우리는 이와 관련된 영역을 살펴보아야만 하겠다.
오늘날 한국어교육에서 네 가지 영역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는 필수교육 요소로써 상호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바, 다음에서는 특히 듣기 교육과 관련하여 먼저 듣기 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발전되어왔는지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듣기의 정의, 관련된 영역들을 하나씩 살펴본 다음, 듣기와 다른 영역을 결합하여 교육할 경우 가장 관련성이 높은 영역이 무엇인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듣기 교육에 대한 인식 발전과정
한국어를 이해함에 있어 듣기는 그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건대 전통적 교수법 중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참고자료
· 김청자(2014), 한국어 듣기 교육론,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 강승혜(1999), 학습자중심 교수전략의 모색을 위한 검토-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 학습
· 전략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16,
· 김중섭(2015),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어교육」 26(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백아영 김영주(201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듣기 활동과 타 영역 간 통합성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 서아람, 2013,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
· 교 교육대학원
· 윤해리, 2014, 딕토글로스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연구, 경희사이버
· 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 양명희 김정남(2011), 『한국어 듣기교육론』, 신구문화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