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정책_저출산고령화"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국내 저출산 정책1. 저출산의 개념
2. 국내 저출산 관련 현황
3. 저출산 정책의 필요성
4. 저출산 정책 변화과정
5. 현재 저출산 정책 내용
Ⅱ. 국내 저출산 정책의 문제점
Ⅲ. 국내 고령화 정책
1. 고령화의 개념
2. 국내 고령화 관련 현황
3. 고령화 정책의 필요성
4. 고령화 정책 변화과정
5. 현재 고령화 정책 내용
Ⅳ. 국내 고령화 정책의 문제점
1. 노인 소득 보장 정책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
3. 노인일자리사업
4.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Ⅴ. 해외 보건의료정책 비교 분석
1. 일본의 저출산 정책
2. 국내 저출산 보건의료정책과의 비교분석
3. 비교 후 시사점
Ⅵ. 해외의 고령화 정책
1. 일본의 고령화 보건의료정책
2. 국내 고령화 보건의료정책과의 비교분석
3. 비교 후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저출산의 개념아이를 적게 낳아 출산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OECD 기준에 따라 합계출산율이 2.1명 이하이면 저출산(LowFertilty)으로, 1.3명 이하이면 초저출산(Lowest-lowfertilty)으로 구분한다.
2. 국내 저출산 관련 현황
1990년대초 70만명이 넘었던 대한민국의 연간 출생아수는 2020년 약 27만명에서 2023년 23만명 수준으로 떨어지고, 2070년에는 약 20만명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여성 한 사람이 가임기간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도 감소 추세로 2002년부터 초저출산율 수준(1.3명 미만)이 지속되다가 2018년에는 0.98명으로 역대 최초로 1명 미만 수준이 되었다.
3. 저출산 정책의 필요성
세계적으로 출산율은 나날이 감소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이 가장 낮은 출산율을 나타내는 국가 중 하나로 저출산은 한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 만큼 심각한 위기라고 할 수 있다. 낮은 출생률은 경제, 개발, 전체 인구, 특히 노동인구를 감소시키며 이는 실질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을 감소시킬 것이다. 지속적으로 낮은 출산율은 노동력의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그래서 우리보다 앞서 인구구조 변화 및 저출산에 직면했던 다른 나라들이 채택했던 정책들을 비교하며 우리나라의 정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4. 저출산 정책 변화과정
-제 1차 기본계획(2006~2010년)
• 목표: ’저출산 대응 기반구축‘
• 자녀양육 및 교육비에 대한 부담, 일/가정 양립 곤란, 육아지원시설 부족 등 자녀양육 환경이 미흡한 점 등을 출산과 양육의 장애요인으로 판단하고 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 주요 대상: 저소득 가정
-제 2차 기본계획(2011~2015년)
• 목표: ‘점진적 출산율 회복’
• 맞벌이 등 일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들이 부각되었으며 정책영역은 보육지원에 더해 일/가정 양립 지원 내용 등을 보강함으로써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 주요 대상: 기존 저소득층 대상을 나아가 중산층 이상으로 대상의 폭을 확대했다.
참고 자료
김경수 외,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국회예산정책처, 2018, 94, 1-115.감사연구원, 『주요국의 저출산 대응 정책의 비교 연구』. (사)한국지방재정학회, 2021, 1-180.
나용선, 『독일,일본,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8권 제1호」, 2011
손종칠 외,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과제』, 「韓國經濟硏究 第34卷 第2號」, 한국경제연구학회, 2016.06, 153-191.
신영전 외, 『인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 고령화 정책 계획: 제2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20권 제1호」,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03, 145-186.
안기훈, 『국가별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실패와 성공』,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2018(1), 67-69.
이희성 외, 『초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노동법논총』, 2020, 1-29.탕윤 외, 『활동적 고령화 정책을 위한 두 가지 길 : 신중년 사회공헌활동사업과 노인일자리사업.』, 社會科學硏究 34.2, 2022, 121-156.
이얼,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일본의 의료정책』, 의료정책포럼, 2017
이성한, 『한·중·일 인구구조의 변화와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 비교 분석』, 2016
이서영,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동향 - 개호보험 시행 이후의 주요 개정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56권0호」, 2009, 90-99
장세철 외, 『일본의 개호보험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비교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vol., no.42」, 2009, 325-345
정기룡 외, 『일본의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고찰 -개호보험 도입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 59권0호」, 2018, 415-437
『제 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2년도 시행계획』, 대한민국정부,https://www.betterfuture.go.kr/front/policySpace/basicPlanDetail.do?articleId=109&listLen=10&searchKeyword=&position=S
『제 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사용설명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https://www.betterfuture.go.kr/front/policySpace/road.do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정책 사용설명서』,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1756)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정책 주요내용』,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1756)
국가기록원-나라기록포털, 저출산 고령사회, https://theme.archives.go.kr/next/populationPolicy/issue08.do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https://www.longtermcare.or.kr/npbs/indexr.jsp
통계청, 출산아수와 합계 출산율, https://kosis.kr/visual/populationKorea/PopulationByNumber/PopulationByNumberMain.do?mb=Y&menuId=M_1_2&themaId=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