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부정맥 병태생리
자극형성장애
● 정상적인 심장리듬은 동심방결절 세포의 자동적인 흥분에 의해 시작 ➔ 정상적으로 동심방결절은 전도로 중 자극형성 속도가 가장 빨라 심박동을 조율하는 생리적인 박동조율기로 작용
● 동심방결절이 기능을 상실할 경우에는 하위조직이 대신 전기자극을 형성하며 잠재성 박동조율기로서 심박동 조율
● 전기자극의 형성 속도는 동심방결절이 분당 60-100회, 방실접합부는 분당 40-60, 심실은 분당 20-40회
자극전도장애
● 정상동리듬에서 자극전도는 빠른 전도로를 따르지만 심장박동수가 빨라지거나 조기박동 일 때는 빠른 전도로가 아직 불응기 상태이기 때문에 느린 전도로를 따라 자극 전달
● 빠른 전도: 자극을 전달하는 속도는 빠르지만 그에 비해 불응기가 긴 편
● 느린 전도: 전도속도가 느린 반면 불응기가 짧은 편
● 자극전달이 억제되거나 일부영역이 병리적인 원인에 의해 차단되면, 차단되지 않은 부분이 차단된 부분보다 먼저 활성화 ➔ 균일하지 않은 전도 때문에 처음 시작된 자극이 차단으로 인해 자극전도가 되지 않았던 부분으로 다시 흘러가게 됨(재돌입) ➔ 자극이 재돌입하여 조기박동을 유발하기도 하고, 빈맥 유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