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케이스 세기관지염, 비효과적기도청결 A++
- 최초 등록일
- 2023.01.22
- 최종 저작일
- 2023.0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아동케이스 세기관지염, 비효과적기도청결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은 주로 상기도감염 후에 발생하며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쉽게 상기도감염에 걸리는 영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하부 호흡기도 질환 중 하나이다. 급성 기관지염에 걸린 환아는 기침과 호흡곤란을 주 호소로 하며 어린 영아에서 무호흡 발작이 일어나고, 호흡성 산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영양결핍 어린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소아에서는 감염 시 적절한 간호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2차적인 세균감염이나 무기폐,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높다. 그러나 조기에 정확히 진단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합병증 발생이 감소하고 저절로 나아 영구적인 구조적 손상이나 기능 손상은 오지 않으며 충분한 영양섭취와 휴식 등을 통해 자연 경과를 보이는 질환이다. 이러한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큰 공기통로인 기관과 기관지에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균으로 인해 급성 염증 반응이 생긴 질환을 말한다.
-유아는 성인보다 호흡기가 짧고 면역력이 약해 기관지염이 많이 발생한다
- 기관지의 구조적 약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돌 전후에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
1)원인병원체
-RSV: 50-80%를 차지
-human metapneumovirus(HMPV): 3-19%를 차지
-parainfluenza virus (주로 type 3), influenza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 발생
→수일 내에 하기도로 진행하여 세기관지 상피(bronchiolar epithelium)의 염증을 유발하고 점막하층(submucosa) 및 외막(adventitia)의 부종 초래
→죽어서 탈락한 상피세포 및 피브린(fibrin)은 기류(airflow)의 부분 또는 완전폐쇄 유발
-폐쇄의 정도는 폐쇄된 부위가 청소됨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임상의로 하여금 적절한 평가 및 질환의 중증도 판단에 혼란 야기
-“ball-valve" mechanism :폐쇄 부위 원인부의 공기포착 유발 →무기폐, 환기관류불균형
-무기폐: 어린 소아에서는 측부 통로이 없기 때문에 무기폐가 쉽게 발생, 악화 될 수 있고, 고농도 산소 투여 시에도 가속화될 수 있음
-평활근 수축 : 세기관지염의 병태생리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미미. 임상연구에서 기관지 확장제가 제한된 효과만을 보이는 것과 연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