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실습_케이스_조현병 (무조건 A+가능합니다!!!)
- 최초 등록일
- 2023.01.21
- 최종 저작일
- 2021.06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실습_케이스_조현병 (무조건 A+가능합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원인 및 정신 역동
3. 행동특성
4. 간호과정: 사정
Ⅲ. 결론
본문내용
1. 정의
- 뇌의 기질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인지, 지각, 정동, 의지, 행동과 사회활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장애를 초래하는 뇌기능장애.
2. 원인과 역동
-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내지 못하고 있음.
- 두 가지 주요 학설 : 생물학적 원인설, 정신사회적 원인설.
- 정신분열병에 대한 생물정신사회적 모형(biopsychosocial model)
: 생물학적 접근과 정신사회적 접근을 통합한 것.
1) 소인적 요인
(1) 유전적 요인
- 쌍생아 연구 결과 : 일란성 쌍생아에서의 발생빈도 > 이란성 쌍생아에서의 발생빈도 이런 결과는 정신분열병이 부분적으로 유전적 영향이 있음을 설명
- 정신분열병의 발생 빈도는 가족관계가 가까운 친척일수록 더 높음.
(2) 신경화학적 요인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
- 부분적인 대뇌혈류와 뇌의 당대사율 측정.
- 조현병 환자들이 특정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낼 때, 전두엽으로 가는 대뇌의 혈액 공급이 감소되는 것 확인.
뇌 영상화 연구
- 뇌구조에 대한 CT와 MRI 연구
: 대뇌피질위축, 측뇌실과 제3뇌실의 확대, 전두엽, 변연계, 특히 해마의 위축 보고.
→ 이미 발달된 뇌의 용량이 줄어든 것이라기보다는 뇌의 불완전한 발달의 결과로 봄.
신경전달물질연구
- 조현병에 관련되는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dopamine),
세로토닌(serotonin), 글루타메이트(glutamate) 등.
- 도파민(Dopamine) : 도파민의 활성과잉은 조현병의 양성증상을 유발하고 활성저하는 음성증상을 유발.
- 세로토닌(Serotonin) : 세로토닌은 도파민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을 유발.
- 세로토닌과 도파민 복합차단제인 일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클로자핀, 리스페리돈, 올란자핀)을 사용하면 조현병 환자의 음성증상치료에 효율적임.
- 글루타메이트(Glutamate) : 글루타메이트의 주요 복합 수용체인 NMDA(N-methyl-D-aspartate)의 기능이 차단되면 망상, 환청, 위축, 정서둔마, 인지장애 등의 조현병과 같은 증상이 유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