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골절
1) 골절의 정의
: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 뼈의 손상은 방사선촬영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나 근육, 인대, 신경, 혈관 등의 파열과 같이 회복이 어려운 상태는 확인할 수 없다.
2) 골절의 원인
외적요소
- 힘의 크기, 힘의 방향, 힘의 작용기간, 뼈 조직이 받는 힘
→ 대부분 외적요소에 의해 fracture가 발생함.
내적요소
- 에너지 흡수능력, 피로강도, 골밀도, 작업과 생활방식, 연령의 변화
→ 연령과 골밀도 경우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병리적 골절을 야기함.
3) 골절의 증상
(1) 변형 : 뼈의 모양이나 위치의 변화, 윤곽의 변화, 눌림, 회전 혹은 단축
(femur Fx. 경우 다리길이가 짧아질 수 있음)
(2) 부종 : 골절 부위에 장액성 체액의 증가 및 출혈로 인함.
(3) 손상부위의 열감 : 골절 부위의 혈류량 증가로 인함.
(4) 점상출혈(ecchymosis) : 피하출혈.
(5) 근육경련(muscle spasm) : 골절부 근육의 불수의적인 수축 → 단축발생가능
(6) 압통(tenderness) : 촉진으로 알 수 있음.
(7) 통증 : 근육경직, 골편의 중복, 연조직이나 근육의 손상 등으로 인해.
(8) 감각변화(저린감) : 신경 손상 시 numbness(무감각) 등 호소
(9) 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 통증, 근육경직
(10) 염발음 : 골절편이 부딪칠 때 서로 맞닿는 소리
(11) Shock : 심한 출혈, 연조직 손상 심할 경우
4) 골절의 종류
폐쇄골절
(단순골절)
개방골절
(복합골절)
- 골절부위의 피부에는 손상이 없는 상태.
-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
- 골절된 뼈가 노출 된 것
- 조식 손상과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