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뇌졸중의 중재
9.1 급성기 뇌졸중 중재
9.2 회복기 물리치료 중재
9.3 물리적 인자치료
9.4 일상생활활동 훈련
9.5 약물치료
9.6 수술적 치료
본문내용
1. 정의
1) 뇌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이 막히거나 (infarction)터지면서(hemorrhage) 뇌에 혈액 공급 및 산소공급의 중단 뇌조직이 손상되어 신체부위 장애
2) 중풍(中風), 뇌혈관발작(cerebrovascular accident; CVA)
3) 분류
① 허혈성 뇌졸중 : 뇌경색(cerebral infarct)
② 출혈성 뇌졸중 :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2. 발생빈도
1) 뇌졸중 발생 : 나이가 들수록 많아짐. 50대 이후 10년 마다 2배 발생
2) 우리나라 : 매년 105,000명 신규 뇌졸중 or 재발성 뇌졸중 매 5분마다 발생
3) 남자 >여자
4) 노인에서 많이 발생(젊은 층으로 증가 추세)
3. 뇌졸중의 원인
1) 죽상동맥경화
동맥경화는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피(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죽상판(atheromatous plaque) 형성 혈관질환
2) 심장발작
① 심장질환(심방세동, 판막증 등)에서 유래된 심장 내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 혈관을 막아 혈류 차단으로 발생.
② 동맥경화 보다 뇌손상 영역이 큼
③ 전체 뇌경색 20% 차지
3)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① 뇌혈관의 내측을 이루고 있는 내탄력층과 중막이 손상되고 결손
② 혈관벽이 꽈리처럼 부풀어올라 새로운 혈관 내 공간을 형성
4) 뇌혈관기형(동정맥기형)
① 비정상적인 뇌혈관
② 젊은 환자에서 생기는 뇌출혈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선천적>후천적)
5) 뇌혈관박리
① 뇌동맥 혈관벽 중 안쪽 층과 중간층 사이가 박리되는 경우
② 자발성과 외상성(젊은 층)
③ 기존의 혈관벽에 이상이 있던 곳(목이나 머리의 외상 혹은 과격한 운동) 혈관벽의 일부가 찢겨짐
6)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① 속목동맥의 가지들이 점차 협착 및 폐색을 보이면서 뇌졸중을 일으키는 질환
② 뇌바닥에서 가느다란 비정상적인 혈관들이 자라나오는 모습이 연기처럼 모락모락 피어 오르는 형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