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은 여러 가지 다학문적인 개념을 통하여 정의된다. 노인은 생물학적, 육체적, 사회적 노인으로 구분된다. 생물학적 노화는 탄생과 죽음 사이에 있는 조직의 발전 상태를 의미한다. 정신적인 노화란 개인의 시스템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고, 사회적 노화란 사회가 정해놓은 인생주기에 개인이 머무르는 것이다.
사회의 노령화란 인구 통계학적으로 전체 인구에 대하여 노인인구층이 늘어나는 양적인 증가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에서는 노인의 경재활동 참여율만을 중시하여 역연령이나 생물학적인 노화는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Kohli, 1985).
오랫동안 인간의 나이나 생애사는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주제가 되어 왔다(Kohli, 1978; Rosenmayr-Rosenmayr, 1978; Hagestad, 1990; Weymann, 1994). 노년 사회학에서 보는 노년기에는 쇠퇴의 시기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마다 다양성이 존재하며 노년기에도 활발한 경재활동이 가능하다는 적극적인 개념이 첨가되었다.
참고자료
·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 노인상담 / 이호선 저 / 학지사 / 2012
·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노인을 위한 시장은 없다 / 조지프 F. 코글린 저 / 부키 / 2019
·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 허정무 저 / 협신사 / 2005
· 노인복지론 : 권중돈 저 / 학지사 / 2016
· 노인 정신건강과 노인상담 / 홍주연 역 / 학지사 2016
· 노인교육론 / 임구원 저 / 지식공동체 / 202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