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Ⅰ
2-1. 듣기 교육 과정(활동) 단계.
2-2. 듣기 교육 방안.
2-2-1. 과정 중심의 듣기 교육
2-2-2. 듣기 학습의 구성.
3. 본론 Ⅱ
3-1. 듣기 교육 과정 및 모형.
3-1-1. 듣기 이해 과정
3-2. 듣기교육의 변천
3-2-1. 듣기, 이해 교육과 교수법 변천
3-2-2. 1950~60년대 듣기 교육 양상
3-2-3. 1960~80년대 듣기 교육 양상
3-2-4. 1980~90년대 듣기 교육 양상
4. 결론
4-1. 총평 견해
본문내용
1-1. 듣기.
Rankin은 언어의 4대기능 중에서 실생활에서의 의사소통은 1)듣기가 45%, 말하기 30%, 일기 15%, 쓰기 10% 정도의 비중으로 이 듣기 영역이 언어 소통에 있어 거 의 절반을 차지 하고 있는 것에는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 듣기를 한마디씩 정의한 것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면 좋겠고, 오늘 듣기교육이란 무엇인가를 논하기 앞서 듣기의 정확한 개념과 특성을 먼저 간략하게 알아본다.
l 듣기를 한마디씩 정의하면?
Ÿ 음성언어의 이해 영역이다.
Ÿ 네가지 기능 언어 중 빈도수가 가장 높다.
Ÿ 다른 기능과의 호환과 전이가 좋다.
Ÿ 적극적인 의미 협상의 가장 기본이다.
Ÿ ‘수동적’이 아닌 선별이 가능한 ‘수용적’ 기능이다
Ÿ 이해가 발화보다 앞선 개념의 언어이다.
Ÿ 언어외적인 요소가 분명 있다(화자어조, 표정, 동작)
Ÿ 청자 임의 개입이나 진행 속도 조절 어렵다.
Ÿ 자료 기록이 어려워 자기 주도적 학습이 불가능하다(교육적 측면)
1-1-1. 듣기의 개념.
큰 개념으로 고찰해 보면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저장하고, 시 대의 문화가 흐르고 변화하면서 계속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이때 이런 언 어를 통한 활동은 표현과 이해 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그중 듣기는 읽기와 함께 이 해 활동에 해당된다. 즉 듣기가 이해 활동 영역이라는 것은 청자가 화자의 말을 듣 고 자신의 생각 속에서 의미로 변환하거나, 화자가 발화한 메시지를 분석, 종합하면 서 의미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인지적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듣기의 관점에 따라서는 단순히 이해의 인지적 작용 과정인 개념적 측면과 자신의 내적 목적에 따라 이해하는 정서적 측면, 청자의 입력정보를 좀 더 능동적,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재구성하는 일련의 행위인 활동적 측면으로 나누어 진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