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 청소년의 개념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다. 가출 청소년의 개념은 가출 횟수, 청소년 시기의 구분, 가출 기간, 가출 목적에 따라서 다시 다르게 정의할 수 있긴 하나 보편적으로 부모의 허락을 안 받은 18세 미만의 청소년이 24시간 이상 집에 안 들어가는 것으로 정의를 한다. 많은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선 가출 청소년을 “자신이랑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도적/비의도적으로 집에서 나온 뒤 적어도 1시간 이상 집에 안 들어가서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으로 이야기가 되고 있다.
청소년 매체 이용, 유해환경 실태조사(2016)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가출한 경험에 의하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2.7%가 가출을 한 적이 있다고 이야기를 했고, 가출을 하는 주요 이유는 ‘가족 간의 갈등’이 74.8%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반복 가출 집단은 비양친 가정에서 성장을 한 비율이 높았으며, 가정 경제 수준은 낮게 인식을 하고 부모와의 갈등 정도는 높았다. 즉, 가출 청소년의 가족 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 청소년 ‘가출팸’의 현황과 대책』, 이시연, 유한대학교, 2018
· 가출 청소년의 문제점과 대책』, 김지환, 평생교육원, 2010
· 여성가족부, 가정 밖 청소년 보호 지원 강화』, 조강희, 베이비뉴스, 2021.08.1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