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is를 도입하여 재개발 밀도 제어방안에 대한 연구를 심층 분석하였습니다. 같은 자료를 찾으셨으면, 이 내용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이 다운 받으셔서 도움 되셨음 하네요.
목차
1.연구 배경
2.연구 목적
3.연구의 범위 및 접근 방법
4.연구 과정
- 사례
본문내용
제1절 연구의 배경
도시화는 산업혁명 이후, 농업사회로부터 차츰 공업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속도의 차이는 있으나, 세계 모든 나라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우리의 도시화는 지난 50여년간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고도의 총량성장정책에 집중함에 따라 공간적으로 지역적 불균등을 가져왔으며 급속도로 수도 서울의 도시기반이 채 마련되기도 전에 이미 서울은 인구의 과밀로 인한 각종 도시 문제를 수반하게 되었다. 서울의 영향력은 한계를 넘어섰으며 이와 같은 단기간의 도시화 과정에서 인구의 서울 집중은 각종 도시 기반 시설의 과부하를 가져왔으며 주변 지역의 개발, 확산이 거듭되어 도시의 영역은 점차 확대되어, 서울은 큰 덩치만큼이나 부정적인 도시 문제를 수없이 지니게 되었다.
특히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대도시로의 인구유입은 우리의 주택문제를 물량위주의 성장정책 일변도로 만들었다. 전후 60년대부터 도시가 복구되어 주택공급이 시작되어 7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주택의 양적 확대와 함께 성장위주의 획일적인 주택정책은 지난 30여년간의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택지공급의 한계와 토지가격상승, 주택의 상품화, 주거환경악화 등의 내부적 문제와 교통환경의 악화, 경관훼손, 문화재의 파괴 등 외부적 도시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강남구, 「강남구 도시기본계획」, 1994
강남구, 「강남구지」, 1996
강남구, 「구정백서」, 1996
강병기, 「삶의 문화와 도시계획」, 나남, 1993
건설부, 「도로용량편람」, 1992
국토개발연구원, 「공간계획을 위한 공통주제도 수치지도화 방안 연구」, 1996
국토개발연구원, 「과밀부담금의 활용방안 연구」, 1995
국토개발연구원,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방안 연구」, 1995
국토개발연구원, 「대규모 주거단지의 밀도와 공동주택 계획기준 연구」, 1995
국토개발연구원, 「도시정보체계의 개발」대도시권 관리를 위한 정책연구Ⅴ,
1985.
국토개발연구원, 「신시가지의 적정개발밀도 및 용도별 면적배분 기준」, 1995
대한주택공사, 「재건축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996
박기석, 「지리정보시스템」, 동서, 1995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1세기 삶의 질에 관한 연구」, 199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개발사업에서 공공시설의 비용분담에 관한 연구」,
199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문별 정책구상 」도시기반부문, 199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용도지역 세분화 기준설정 연구」, 중간심의자료,
199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특별시 사회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199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주택시가지 주거밀도에 관한 연구」, 1995
서울특별시,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1995
서울특별시, 「서울시 사회복지지표 보고서」, 1990
서울특별시, 「서울시정업무자료」, 1996
원제무, 「도시교통론」, 박영사, 1994
이건영, 「서울21세기」, 한국경제신문사, 1995
캐드랜드, 「전국 지역정보시스템 구축방안」자유중국관련자료, 199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시생활의 질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1988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시지표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