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하면서 폐렴 관련해서 케이스 한 것들 자료입니다
총 11개 있는데 간호진단 기술하는 방법,원칙 잘 생각해서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1. 관련요인이 명확해야하지만 여러 개라면 복합적 요인(ㅇㅇㅇ,ㅇㅇㅇ,ㅇㅇ)으로 묶어서 쓴다.
2. 관련요인에 질병명, 수술명을 작성하면 안된다. (관련요인은 해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함)
3. 관련요인과 건강문제가 똑같은 말이거나 건강문제와 관련요인이 뒤바뀌어서는 안된다.
4. 간호진단은 NANDA 간호진단에 있는 것으로 작성한다.
약간 이상한 관련요인들은 목차에서 제외시키고 건강문제만 작성했습니다.
Ctrl + F 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총 11개 있는데 간호진단 기술하는 방법,원칙 잘 생각해서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1. 관련요인이 명확해야하지만 여러 개라면 복합적 요인(ㅇㅇㅇ,ㅇㅇㅇ,ㅇㅇ)으로 묶어서 쓴다.
2. 관련요인에 질병명, 수술명을 작성하면 안된다. (관련요인은 해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함)
3. 관련요인과 건강문제가 똑같은 말이거나 건강문제와 관련요인이 뒤바뀌어서는 안된다.
4. 간호진단은 NANDA 간호진단에 있는 것으로 작성한다.
약간 이상한 관련요인들은 목차에서 제외시키고 건강문제만 작성했습니다.
Ctrl + F 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목차
1. 폐렴 케이스 1번.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1개 (급성통증)
2. 폐렴 케이스 2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 폐렴 케이스 3번.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비효율적 호흡양상), (비효율적 기도청결)
4. 폐렴 케이스 4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염증으로 인한 폐포 기능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5. 폐렴 케이스 5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감염으로 인한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6. 폐렴 케이스 6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7. 폐렴 케이스 7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복합적 원인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8. 폐렴 케이스 8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9. 폐렴 케이스 9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의식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위험성)
10. 폐렴 케이스 10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11. 폐렴 케이스 11번.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가스교환장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폐렴(Pneumonia) 정의
폐렴은 폐의 염증 과정에서 폐에 수액이 과다하게 된 상태이다. 염증은 많은 감염성 미생물과 자극성 물질의 흡입에 의해 일어난다. 감염성 폐렴은 환자가 전염원에 노출된 장소에 따라 지역사회 획득성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 CAP)과 병원 감염성 폐렴(health care-associated pneumonia; HAP)으로 구분된다. 병원 감염성 폐렴은 지역사회 획득성 폐렴보다 더 항생제에 내성이 있다. 염증은 간질강, 폐포 또는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2. 원인
환자의 면역계가 미생물의 침투에 대항할 수 없을 때 폐렴이 발생한다. 환경, 삽입 장치나 기구, 직원 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병원체가 인체에 침투한다.
· 감염성 발생원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진균류, 리케차, 원충류, 기생충
· 비감염성 발생원인: 독성 가스, 화학 약품, 연기, 음식, 구토물 흡인
3. 증상
폐렴 환자의 전체적인 외모를 관찰해보면, 뺨의 홍조, 지나치게 생기 있는 눈, 불안한 표정을 짓고 있다. 흉통과 늑막의 통증, 근육통, 두통, 오한, 발열, 기침, 빈맥, 호흡곤란, 빈호흡, 객혈, 객담, 저산소혈증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지속적인 기침으로 인해 가슴근육이 매우 허약해질 수 있다. 청진시 악설음(crackle), 천명(wheezing), 촉각 진탕음(fremitus)이 들릴 수 있다.
4. 진단 및 검사
1. 객담과 혈액검사
객담을 받아 그람 염색검사, 배양검사, 민감도 검사를 한다. 객담검사로 원인균의 50%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민감도 검사로 각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나 민감성을 알 수 있다. 혈액 배양검사로 혈류에 세균이 침입했는지 알 수 있다.
2. 흉부 X-선 검사
일반적으로 폐렴은 흉부 X-선 검사에서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비정상 소견으로는 병변부위가 뿌옇게 나타나는 것이 있다.
3. 흉부전산화단층촬영(Chest CT)
괴사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괴사된 부분 내에서 낮은 감쇠 및 증강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폐렴)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 성미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2020
·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 조경숙 외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2013, 현문사
·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1
·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950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 KMLE 의학 검색 엔진 www.kmle.co.kr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폐렴(성인)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627
·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폐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1
·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 폐렴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IMR&MENU_ID=004008
· 서울대학교병원>N 의학정보(폐렴[pneumomina])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폐렴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007&docId=926619&categoryId=51007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 윤은자, 김숙영 외 공저, 「성인간호학」, 수문사
· 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백과 http://www.snuh.org/health/encyclo/search.do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 세브란스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list.nhn?cid=63166&categoryId=51022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 폐렴
· 윤은자 외, 성인건강간호학1, 수문사, 2019, 폐렴 파트 626~630
· https://blog.naver.com/goldenboysw/221698568192
· 원장원. "지역사회획득 폐렴."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7 (2010): 503-511.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MS01.do
·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제2판」
· Se Hwa Yoo, M.D. Diagnosis of Pneumonia.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ol. 43, No. 4, August, 1996
· KPIC약학정보원 http://dikmobile.health.kr/main.do
· 성인간호학1, 수문사, 아홉 번째판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 병원간호사회, 간호사가 알려주는 HOMECAREhttp://khna.or.kr/homecare/disease/respiratory/respiratory_03.php
· 성미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2020
· Lilley Rainforth Collins Synder,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2015
· 서울아산병원 약물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 폐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 의학검색엔진 KMLE http://www.kmle.co.kr/search.php?Search=C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