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십증 케이스 스터디 A++, A+보장 간호진단10개 간호과정 1개(우선순위)
- 최초 등록일
- 2022.12.21
- 최종 저작일
- 2022.06
- 3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CASESTUDY입니다(협심증)
간호진단10개 간호과정 1개
A++보장합니다(교수님께 칭찬받았습니다)
구체적으로 작성했습니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여러검사결고와 목적, 검사의 임상적의의)
2. Problem List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실습 후 느낀 점
2. 참고문헌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Problem List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실습 후 느낀 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장은 펌프 작용을 통해 온몸에 혈액을 공급하고 장기들이 제대로 기능을 해줄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신체기관이다.
이러한 심장이 1초도 쉬지 않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심장에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산소 및 혈액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장근육이 일시적으로 허혈 상태가 되고 협심증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협심증이 발생하면 가슴을 무거운 돌로 누르는듯한 통증과 쥐어짜는듯한 통증, 조이는 듯한 통증 등이 나타나고 더부룩함이나 오한, 목과 어깨, 겨드랑이에 방사통이 동반될 수 있다. 환자의 약 70%가 남성이며 남성의 경우 50대 이상, 여성의 경우 60대 이상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 협심증은 돌연사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질병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진단을 내리고 중재를 계획하며 구체적인 지식을 쌓아 환자의 증가율을 낮추고 예방을 하기 위함이다.
2. 문헌 고찰
(1)정의(협심증, angina pectoris)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spasm)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협심증의 세 가지 형태
1) (만성)안정형 협심증 :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생기는 협심증
특징: 5-15분간 지속되는 통증
운동 시 악화
휴식이나 NTG에의해 완화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삼성 서울병원 검사정보
성인간호학 1 (현문사)
대한내과학회지 2008:75:525
대한내과학회지 2017년 춘계학술대회 p110
대한응급의학회 2015냔 춘계학술대회 p20
대한의학서적(2015)p48~65
진단 검사와 간호 - 송경애 외 - 수문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드러그 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