合竈突煤二味, 酒服方寸匕, 療婦人日月未足而欲產《千金方》.
*灶(부엌 조; ⽕-총7획; zào)突[zàotū]부뚜막에 달린 굴뚝. (=灶额)
양상진을 굴뚝의 매연 2약미로 술로 사방 1치 수저로 복용하면 부인의 날짜가 차지 않았는데 출산하려고 함을 치료한다. 천금방
合葵莖等分, 醋和, 敷癰腫《千金翼》.
양상진을 아욱줄기와 같은 분량으로 식초와 섞어 옹종에 붙인다. 천금익방
合酒服方寸匕, 療橫生不可出及倒生;
倒產의 원문은 倒生[出産時 다리가 먼저 나오는 것]
양상진을 술로 사방 1치 수저로 합쳐 복용하면 횡산으로 다리가 먼저 나오지 않게 한다.
合油瓶中滓, 療小兒頭瘡, 先以皂莢湯洗淨, 塗之瘥. 《子母秘錄》
양상진을 병쏙의 찌꺼기와 합쳐 소아 두창을 치료하며 먼저 조협탕을 세정해 칠하면 낫게 된다. 자모비록
石之土 無毒 土陰孽 土生
돌중의 흙은 독이 없고 토음얼로 흙에서 생긴다.
土陰孽, 主婦人陰蝕, 大熱, 乾痂(《名醫所錄》).
토음얼은 부인의 음부부식, 고열, 건조한 딱지를 주치한다. 명의별록
【地】(《圖經》曰)生高山崖上之陰, 色白如脂.
산지 본초도경에서 말하길 높은 산 절벽의 응달에서 생기니 백색은 기름과 같다.
(陶隱居云:)此猶似鍾乳, 孔公孽之類, 故亦有孽名, 但在崖上耳.
도은거가 말하길 이는 토음얼은 종유석, 공공얼 종류와 유사하며 그래서 또 얼이란 이름이 있고 단지 언덕에서 생길뿐이다.
참고자료
· 본초품휘정요 중의고적고본정선, 명나라 유문태, 중국 상해과학기술출판사, 페이지 155-161
· www.upaper.net/homeosta
· https://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www.imagediet.co.kr
· https://cafe.daum.net/homeosta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