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bstract
금, 은 콜로이드를 합성하여 틴들현상과 흡광도, 입자 크기를 측정해보며,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비커와 매스 실린더, 마그네틱바를 왕수처리한 후, 25mM 6mL, 25mM 10mL, 250mM TSC(금) 6mL, 34mM TSC(은) 10mL 용액을 제조하였다. 증류수에 랩을 덮어 기포가 올라올 때까지 끓인 후, 전구체 용액( 혹은 용액)과 TSC 용액을 넣어줬다. 교반 후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금 콜로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증류수 200mL, 은 콜로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증류수 80mL를 사용하였다. 금 콜로이드의 색 변화는 무색→청자색→붉은색→검붉은색 순이었고, 은 콜로이드의 색 변화는 무색→노란색→갈색→회색 순이었다.
용액을 증류수에 묽혀 적색 레이저와 녹색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틴들 현상은 금 콜로이드에서는 적색 레이저에서만 일어났고, 은 콜로이드에서는 적색 레이저, 녹색 레이저 모두에서 일어났다. 이를 통해 파장의 크기는 ‘녹색 레이저<금 나노 입자<적색 레이저’, ‘은 나노 입자<녹색 레이저<적색 레이저’ 임을 알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는 SPR에 의해 가시광선에 대한 강한 흡수성을 가진다. 이번 실험에서 합성한 금 나노 입자는 525nm 부근, 은 나노 입자는 435nm 부근에서 최대 흡광을 가진다. 금 나노 입자의 평균 지름은 25.5nm, 은 나노 입자의 평균 지름은 67.3nm였고,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파장은 큰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합성한 나노 입자의 최대 흡광 파장이 이론값보다 큰 이유는 이론값보다 크게 입자가 합성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 화공 기초 이론 및 실험 2 실험노트
· 김효정, “입자 크기 분포가 금 콜로이드 광학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 연구”, 대한화학회지, Vol. 51, No.5, p407-411 (2007)
· 이종집, “Trisodium Citrate을 이용한 은 나노입자의 합성 및 분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7, No.4, pp772-779 (2016)
· 강애연, “Citrate의 역할이 금 나노입자의 크기분포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연합대학대학원 나노계측과학 (2003)
· 이종집, “액상환원법으로 제조한 은 나노입자의 크기와 분산특성”, 한국산화기술학회 논문지, Vol.17, No.5, pp10-16 (2016)
· 네이버 지식백과, “가시광선”, https://bit.ly/3kTJUWg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