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경영 혁신사례_종두법
- 최초 등록일
- 2022.11.28
- 최종 저작일
- 2019.04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기술경영 혁신사례_종두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작하며
1) 그 시대적 배경과 상황 : 급격하게 역전된 교류의 양상
2) 일본에서 조선으로의 기술적 교류 사례 설명
3) 무엇을 시사하는가?
본문내용
본 리포트의 주제는 조선이 일본으로부터 ’우두법‘ 이라는 신기술을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해 받아들여 기술적 진보를 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과 일본 간의 여러 가지 교류 양상 중에서 일본으로부터 조선으로의 교류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초점을 맞춘 교류 시기는 15, 16, 17세기 같이 비교적 널리 알려진 시기가 아니라 20세기를 코앞에 둔 조선 왕조의 말기이다. 격랑의 이 시기에 과연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기술적 교류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 평소에 늘 궁금하였다. 조선 왕조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존속했으니, 1910년에 행해졌던 교류도 당연히 논의의 대상이 된다. 19세기 극후반 ~ 20세기 극초반 시기가 이 리포트의 관심 대상 시기이다. 이 시기에 이루어진 다양한 교류 중 우두법의 도입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선 왕조는 518년이라는 장구한 세월 동안 중국과 일본, 그리고 아시아의 여러 왕조들과 사대 정책, 교린 정책 등을 통해 외교 관계를 유지해왔는데, 이것들은 상대국에 따라 다르게 구사했었던 조선 왕조의 외교 지침이자 전략이었다. 선진문물의 전파자인 대륙의 중국, 중간 전파자의 역할을 담당했던 조선, 최종 수용자 역할을 해왔던 일본의 역할은 서양의 제국주의 세력이 지구 각지로 팽창하는 시점부터 서서히 바뀌어 갔다.
1) 그 시대적 배경과 상황 : 급격하게 역전된 교류의 양상
(가) 19세기 이전
아주 오래 전부터 근세 시대 말(19세기 후반)까지, 아시아 문물과 기술의 선두주자는 중국이었다. 이러한 중국의 선진 문물과 기술의 혜택을 가장 가까이서 신속하게 누려왔던 주체들은 한반도의 국가들이었다. 그중에서도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유용한 기술들과 첨단 학문들을 같은 시기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보다 항상 먼저 수입해왔으며 학습하였고 상용화했다. 그리고 조선은 이렇게 받아들인 문물들을 근방의 일본과 남쪽의 유구 왕국(류큐 왕국: 일본 오키나와현에 있던 옛 왕국으로, 류큐는 현재 ‘오키나와’의 옛 지명이다. 12세기부터 몇 개의 집단이 세력을 다투다가 1429년 등장한 통일왕국으로 오키나와 중심지인 ‘나하’의 동부에 있는 ‘슈리’를 도읍으로 삼았다.)등에 사절단을 파견함으로써 전파해주는 2차 전파자 역할을 하였다.
참고 자료
동아시아와 한일교류(2008): 최장집⦁하마시타 다케시 공편/ 아연출판사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위생정책과 조선사회(2012): 이형식/ 한림일본학
조선시대의 천연두와 민간의료(2005): 정연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한국 우두법의 정치학. 계몽된 근대인가, 근대의 계몽인가(2000): 신동현/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2권 제2호
한국의 우두법 도입과 실시에 관한 연구. 1876년에서 1910년까지를 중심으로(1993): 이꽃메/ 한국과학사학회지 제15권 제2호
19세기에서 20세기 중반 한국의 우두법 및 백신접종 연구에 있어 지구사적 관점의 유용성(2018): 이현주/ 동국사학 65집
(서평) 호환, 마마, 천연두(2013): 신동원/ 돌베개출판사
천연두 이야기(2001): 신호열/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기업의 개방형 혁신전략이 ICT융합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2016): 남충현⦁정원준⦁ 김규남/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2008): 김석관⦁장병열⦁이윤준⦁송종국⦁안두현⦁이광호⦁최지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정책연구
조선후기 질병사 연구. 조선왕조실록의 전염병 발생 기록을 중심으로(2010): 이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