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 론
[1]브뢴스테드 산은 양성자를 줄 수 있는 물질이고, 브뢴스테드 염기는 양성자를 받을 수 있는 물질로 정의되어있다. 이는 산-염기의 성질과 반응을 논의할 때에 일반적으로 적절하게 사용된다. 짝산-짝염기 쌍(Conjugate acid-base pair)은 산과 그 짝염기 또는 염기와 그 짝산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산과 염기의 브뢴스테드 정의를 확장한 개념이다. 브론스테드 산의 짝염기는 산으로부터 양성자 하나가 제거될 때에 남아있는 화학종이다. 반대로 짝산은 브뢴스테드 염기에 양성자가 첨가됨으로써 생성된다.
모든 브뢴스테드 산은 짝염기를 가지며, 모든 브뢴스테드 염기는 짝산을 가진다. 예를 들면 염화이온 (Cl-)은 산 HCl로부터 생성된 짝염기이며, H3O+(하이드로늄 이온)는 염기 H2O의 짝산이다.
브뢴스테드의 정의에 의하면 암모니아는 양성자를 받는 능력 때문에 염기로 분류된다.
농도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용액인 표준 용액(standard solution)을 미지의 다른 용액에 두 용액간의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서서히 첨가하여 미지 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을 적정(titration)이라고 한다. 적정에 사용한 미지 용액과 표준 용액의 부피를 알고 있다면 표준 용액의 농도를 이용하여 미지 용액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은 뷰렛과 같은 부피 기구를 이용하여 미지시약과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용액 사이의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미지용액을 첨가하면서 결과값을 당량점을 찾을 수 있다.
당량점(equivalence point)이란 산이나 염기가 서로에 의해 완전히 반응되는 점, 즉 중화되는 점을 말한다. 당량점은 산이나 염기 용액에 첨가된 미량의 지시약의 색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확인한다.
참고자료
· 레이먼드 창의 일반화학 수정판 제 12판(화학교재연구회 옮김)
· 화학실험1 교재 2020년 3월 출판(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2012년 수정판 제 8판 (Daniel C. Harris) - (그림 5,6,7)
· http://study.zum.com/book/12891(그림1)
· https://ywpop.tistory.com/2732(그림2)
· https://ywpop.tistory.com/2736(그림3)
· https://ywpop.tistory.com/2742(그림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