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연구보고서 (심근경색)
- 최초 등록일
- 2022.11.23
- 최종 저작일
- 2022.10
- 13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각각 4개씩
목차
Ⅰ. 병태생리
1. 심근경색의 정의
2. 심근경색의 위험인자
3. 심근경색의 임상증상
4. 심근경색의 합병증
5. 심근경색의 진단검사
6. 심근경색의 치료
Ⅱ. 사례 소개
1. 사례
2. 진단검사
Ⅲ.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 사례 대상자에게 가능한 간호진단
2. 각 간호진단의 간호과정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근경색의 정의
심근경색은 지속적인 허혈의 결과로 일어난다. 이는 비가역적인 심근세포의 괴사를 유발한다. 모든 급성 심근경색의 대부분이 혈전 형성의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혈전이 생기게 되면 심근 말초 부위에서 폐색 부위로의 관류가 정지되어
괴사가 생기게 되고 괴사 부위에서의 심장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손상된 기능의 정도는 침범된 심장의 부위와 경색 크기에 따라 다르다.
2. 심근경색의 위험인자
(1) 고지혈증
혈중의 지질농도가 높아지면서 심혈관에 지질의 축적이 많아지게 되어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는 죽상 경화증이 쉽게 발생된다.
(2) 고혈압
동맥혈관의 압력 증가로 지질이 혈장에서 혈관 안으로의 침윤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압력 자체가 혈관의 내벽을 손상시킨다.
(3) 당뇨병
당뇨병으로 인한 모세혈관 기저막의 변화는 죽상 경화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4) 흡연
혈중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부정맥을 유발시킬 수 있다.
(5) 가족력
당뇨병, 고혈압 등의 유전적 소인과 함께 생활 환경의 유사로 인한 연관성이 추측된다.
3. 심근경색의 임상증상
(1) 통증
휴식, 체위변경, 약물 투여에 의해 진정되지 않는 심한 부동성 흉통이 심근경색의 특징이다. 다른 통증과는 달리 통증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보통은 압박감, 힘겨움, 작열통, 답답함, 죄이는 느낌으로 묘사된다. 흔하게 발생되는 부위는 흉골 하부, 흉골 후부, 상복부가 있다. 방사통은 가슴으로부터 목, 턱, 팔과 등으로 방사될 수가 있다. 환자가 활동 중일 때 또는 휴식 중, 수면 중, 깨어있는 중에도 발생하나 이른 아침에 자주 나타난다. 보통은 20 ~ 30분 이상 지속이 되며 일반적인 협심통보다 더 심한 것으로 묘사된다.
(2) 교감신경계 자극
심근경색의 초기단계에 카테콜아민이 허혈된 심근세포에서 유리된다. 교감신경계 자극의 증가는 발한, 말초혈관 수축을 유발한다. 신체검진 시 환자의 피부는 어두워지며 축축하고 차갑게 느껴진다.
참고 자료
Lewis, Dirksen, Heitkemper & Bucher. (2014). Medical-Surgical Nursing. Elsevier.
WILKINSON & JUDITH M.. (2012).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Pearson Education
Robert J., Hubert & Karin C. VanMeter. (2018). GOULD’S PATHOPHYSIOLOGY FOR THE HEALTH PROFESSIONS, SIXTH EDITION. Elsevier
정혜선. (1992). 급성 심근 경색증 환자의 간호사례연구. 대한간호, 31(7•8), 50~61.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study). (n.d.).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08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n.d.).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심근경색. (n.d.).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sub01/sub03_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