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의 정신 및 가치와 효과
- 최초 등록일
- 2022.11.22
- 최종 저작일
- 2022.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태권도의 정신 및 가치와 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태권도 정신(精神)의 근원적 사상(根源的思想)
2. 태권도 정신
3. 태권도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
4. 태권도를 통한 정신력 강화
1) 평화정신
2) 애국정신
3) 충효정신
4) 예의정신
5) 부동심
6) 극기정신
7) 준법정신
8) 호연지기
5. 태권도의 가치 및 효과
1) 신체적 측면
2) 심리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경제적 측면
5) 국방 체육의 측면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대 태권도의 근원적인 면(面)을 살펴보면 생존(生存)을 위한 식물의 획득(獲得), 외적 방어 (外的防禦)라는 인간본능의 생활요구(生活要求)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도수공전의 투쟁 형태 (鬪爭形態)가 투기(鬪技) 또는 방어 무술(防禦武術)로 발달하여 점차 심신 단련(心身鍛鍊), 무예 수련(武藝修練)의 방법으로서 태권도가 체계화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신라(新羅),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가 정립하여 신라는 한반도의 남동방 서라벌 일대에서 BC 57에, 고구려는 압록강 건너 졸본천(卒本川)기슭에서 BC 37에 그리고 백제는 한반도 중간 지 점에 위례성(慰禮城)을 근거 삼아 BC18에 각각 나라를 세웠다.
이 3국은 국내적으로는 민족 통일(民族統一)을 위한 영토분쟁(領土紛爭)과 사회(社會)의 문화 발달(文化 發達)을 위해 각축전(角逐戰)을 벌였으며, 국외로는 외적 방어 때문에 자연히 무술이 중시되었으며 무사의 지위가 확보되었다. 삼국사기 열전(三國史記 列傳)에 수록된 인사가 모두 87명인데 그 중 무사가 60명인 것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연유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에 있어서 위정자(爲政者)들의 정치적 과제는 병합(倂合)시킨 제부족(諸部族)들을 여하히 사상적으로 통일하고 정치적으로 통합하여 정복 사업(征服 事業)에 재투입(再投入) 하느냐는 점이었다. 따라서, 민족고유의 선 사상(仙思想)에 불교 사상(佛敎思想)과 유학(儒學)이 도입되어 호국 정신(護國精神)을 크게 강조하였다. 특히 국방의 일선에 나서는 무사들에게는 더욱 크게 강조되었으며, 당시 무사들의 규범 의식(規範 意識)이자 무인 정신(武人 精神)이었 던 것이다.
여기서 조상들의 숨결과 함께 그 심성이 뿌리 깊이 흐르고 있는 선 사상(仙思想)은 신라(新羅)뿐만 아니라 시대적 환경에 따라 그 나라의 국민정신으로 승화되고 있었음을 추찰(推察)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태권도 교본」이학식 엮음. 도서출판 바른길
국기원 http://www.kukkiwon.or.kr
대한태권도협회 http://www.koreataekwond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