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안녕하세요. 제가 과제를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과제의 전체적인 흐름과 깔끔한 구조, 과제 내용의 질, 깔끔한 양식 등이 있습니다. 이런 사소한 것까지 신경쓰며 과제를 한 이후로 계속 A+를 맞았습니다. 다양한 자료와 수준 높은 자료가 있는 과제들입니다. 제 자료의 전체적인 구조든, 안에 있는 내용이든, 서론 본론 결론 등을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선정이유
2. 통계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대상자 정보
3. 검사결과
4. 약물
5. 간호진단
6.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 선정 이유
아동간호학 수업에서 ‘크룹’이라는 질병에 대해 배웠는데, 아동에게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라서 생소하게 느껴졌다. 배우고 나니 여러 종류의 크룹으로 다시 나뉘고, 그에 따른 원인균이나 치료법, 증상이 다르다는 것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이렇게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크룹 진단을 받은 대상자를 선정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해보려고 한다.
이번 사례 보고서를 통하여 크룹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대상자 상태에 따라 어떤 간호중재를 어떻게 적용하할지에 대해 고민해보면서 더 폭넓고 실질적인 간호를 경험해보려고 한다.
2. 질병 관련 통계자료
크룹환자들의 원인 바이러스 분포
대상 환아 179명 중 바이러스 중복 감염을 보인 경우는 25명(14.0%)으로 모두 2가지 바이러스의 중복 감염이었다. 단독 바이러스 감염 154명을 대상으로 원인 바이러스의 빈도를 살펴보면, 파라인플루엔자가 85명(55.2%)으로 가장 많았고,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19명(12.3%), 리노바이러스 17명(11.0%), 인플루엔자바이러스 14명(9.1%)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바이러스에 따른 임상양상과 입원 경과 비교
파라인플루엔자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군, 리노바이러스군, 인플루엔자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 사이의 임상 양상과 검사소견을 비교하였다.
Westley score를 이용한 중증도 평가에서 각 군 모두 경증 크룹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중증 크룹의 경우 파라인플루엔자군과 인플루엔자군에서 각 1명만 있었다.
에피네프린 흡입은 파라인플루엔자군에서 21.1%로, 리노바이러스군의 47.1%와 인플루엔자군의 57.1%보다 의미 있게 적었다. 에피네프린 1회 흡입치료에반응이 없어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에피네프린 흡입치료를 한 환자는 파라인플루엔자군에서 6.9%로 리노바이러스군의 29.4%보다 의미 있게 적었다. 스테로이드 근육주사의 경우 인플루엔자군에서 다른 군들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 스테로이드 지속치료를 시행한 경우도 인플루엔자군에서 21.4%로 다른 군들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
참고 자료
성미혜, 강정희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제2판. 서울. JMK. 2017 : 56-67
양선희, 원종순 외. 기본간호학1. 서울. 현문사. 2014 : 125-147
윤희옥, 곽은미 외. 아동간호학2. 제2판. 서울. 현문사. 2016 : 182-216
류일, 오경진, 양동화, 신형록, 김은진, 선용한, 조혜경, 조혜정. (2019). 하기도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에서 진단된 크룹의 계절적 변동과 병인: 2009-2017년 장기간 연구.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7(1), 28-36.
차한, 류일, 김은진, 남혜나, 선용한, 조혜경, 조혜정, 손동우. (2017). 후두기관지폐렴으로 진단된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원인: 크룹 환아와의 비교.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5(5), 274-279.
서울아산병원. 알기쉬운 의학용어(크룹). 서울. 인터넷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4250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서울. 인터넷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353&cPage=2&DP_CODE=AAPD&MENU_ID=004008
김정희. (2019). 국내 소아 크룹의 원인 바이러스.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7(2), 6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