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이드 발달이론 - 심리성적 이론(psychosexual theory)
(1) 구순기(구강기)
대략 출생에서 1세 6개월 사이의 연령에 해당된다. 구순전기의 영아는 주로 빠는 행위를 통해 쾌감을 얻으며, 구순후기에는 씹거나 깨무는 행동으로 리비도의 욕구가 충족된다. 수유를 지나치게 규칙적으로 하거나 이유를 지나치게 빨리 하여 구순만족이 좌절되면 아동은 구순고착성격을 갖게 된다. 이러한 초기 구순고착 경험은 성격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순전기고착은 음식에 대한 지나친 집착, 과도한 흡연 혹은 음주, 사람과의 접촉에 대한 지나친 요구, 타인에 대한 의존성 등의 퇴행적 성격을 보이기 쉽다. 구 순후기 고착은 타인에 대한 비난이나 분노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단계에 따라 충족되어야 할 욕구에 대한 적절한 만족이 정상적인 성결발달에 필수적임을 말해준다.
(2) 항문기
대략 1세 6개월에서 3세에 해당하는 항문기는 배설의 쾌감을 통해 리비도의 만족을 구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배변훈련을 하는 시기이므로 항문쾌감이 박탈될 가능성이 높다.
참고자료
·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 이현림․김영숙,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 Stephen Palmer,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학지사
· 연세대학교,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Ⅳ, 교육과학사
· Erik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1963
· 조복희,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 신명희 외3,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 네이버 지식인
· 남궁달화,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 곽기상, 교육의 심리적 기초, 형설출판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