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과제] 재생산이론 - 교육이 사회적 계급을 재생산한다는 이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재생산이론의 개념 및 배경, 논의의 필요성
Ⅱ. 본론 - 재생산이론에 대한 나의 견해와 사회적 함의
Ⅲ. 결론 - 재생산이론의 한계와 가능성과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970년대 이르러 교육과 사회발전에 대한 낙관론적인 주장을 했던 기능주의적 관점은 점점 비판과 도전을 받게 되었다. 즉 학교의 역기능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오히려 이를 범법 혹은 병리현상으로 간주한다는 비판과 변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구조, 성격과 같은 기본 변수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와쉐이,1975)을 통해 기능주의의 한계점이 드러난 것이다. 이 입장을 토대로 갈등론적 이론가들은 교육이 모든 계급에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으며 이를 통해 도리어 사회의 불평등과 불공정성을 강화, 유지한다고 학교 교육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교육이 사회적 계급을 재생산한다는 갈등이론의 교육론이 나타났으며 그 중 보울즈와 진티스의 ‘경제적 재생산이론 - 상응이론’, 부르디외의 ‘문화자본이론’ 등이 점차 발전되었다.
특히 보울즈와 진티스의 상응이론의 개념에 따르면 학교 교육이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에 잘 순응할 수 있는 노동력을 양산하기 위한 제도로 발전되어 왔으며 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체제순응적인 성격 특성을 학습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즉 학교교육과 경제적 생산체제가 서로 상응(교신)하여 계층에 따른 교육을 실시함으로서 계층 불평등을 존속시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이론을 현재 사회에 대입하고 논의해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참고 자료
이런, ‘기능주의 교육이론 -2’, 네이버 블로그, 2020-09-28,
https://blog.naver.com/junhee110/222102148622
최영득, ‘2028 대입개편 전문가 포럼 현장 리뷰’, 네이버 블로그, 2022-10-28,
https://blog.naver.com/id40704/222909578076?isInf=true
허은주 외 4인,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2010-03-05
김기석, 서론: 제도교육 그 신화와 실상 탐구, 교육사회학 탐구, 1987
이경숙 외 10인, 교육열망과 재생산, 한국학술정보(주), 2013-03-04
정대진, ‘개천에서 용나지 않는 시대에 고함’, 책마루, 2009-10-15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5
김병욱, 교육사회학, 학지사, 2007
이종각, 교육사회학총론, 동문사, 2004
새교육 개혁포럼 및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서울시교육청 주최 현장교원중심 교육과정포럼 ‘학생 참여형 수업개선, 이것이 핵심이다!’ 1차 포럼 자료, 2016-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