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란 통상 ‘어떤 것’(something)을 ‘다른 어떤 것’(something else)을 통해 표현하고 이해하는 기술로 정의된 채 시문학과 수사학의 연구 영역으로 분류되어 왔다. 문학과 수사학에 따르면 “언어표현은 ‘글자 그대로의 의미’(literal meaning)와 ‘비유적 의미’(figurative meaning)"가 있는데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일상 언어이고, 비유적 의미(은유와 환유)는 예술 언어이다.
일상적인 언어에서뿐만 아니라 성경에서도 은유적 표현들이 많이 나타난다. 다음 예문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1) a. You must be born again. (요 3:7).
b. He is born of water and the Spirit (요 3:5).
c. He guides me in paths of righteousness for his name's sake (시 23:3)
d. Even thought I walk through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I will fear no evil (시23:4)
위의 언어적 표현들은 같은 개념적 은유인 ‘(영적) 인생은 여행이다’를 토대로 나온 것들이다.
은유가 유사성에 근거한 비유라면 환유의 비유적 원리는 인접성이다. 은유가 다른 영역(domain) 간의 연결 짓기라면 환유는 한 영역 내에서 이뤄지는 연결 짓기로서 어떤 개념이 그와 인접한 다른 원형적 개념과 맺는 연결 짓기다. 한 영역 혹은 틀 내에서 이뤄지는 환유는 크게 세 가지 양상을 띠는데, 전체가 부분을 나타내는 것, 반대로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는 것,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지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보다 더 상세한 분류도 가능하다. 소유물은 소유자를 활성화한다. “여자가 물동이를 버려두고 동네로 들어가서” (요 4:28). 에피소드 내에서 여자가 버린 “물동이”는 메시아를 만나기 이전의 사마리아 여인의 ‘목마른 자아’를 가리킨다.
참고자료
· A Cruse, A Glossary of Semantics and Pragmatics (Edinburgh : Edinburgh University Pres, 2006), 106.
· J.Searle, Expression and Meaning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32.
· J.R.Taylor, Linguistic Categorization, 3rd ed.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orig.1989]), 125.
· Z.Kӧvecses and R. Gunter, "Metonymy:Developing a Cognitive Linguistic View," Cognitive Linguistics 9.1 (1998), 39.
· Lakoff, Woman, Fire and Dangerous, 393.
· Vyvyan Evans, The Structure of Time : Language, Meaning and Temporal Cognition (Amsterdam : John Benfamins, 200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