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학개론] 청년실업 관련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청년 실업 연구 필요성
청년은 2000년대 들어 경기침체와 함께 청년실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정책의 주요대상으로 대두되었다. [그림1]은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청년의 인구 구성 현황을 보여준다. 2018년 5월 통계청이 발표한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청년(만15~29세) 인구는 915만 7천 명이며, 그 중 경제활동인구는 436만 8천 명(47.7%), 비경제활동인구는 478만 9천 명(52.3%)으로 집계되고 있다.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는 390만 8천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9만 5천 명 감소하였고, 실업자는 46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5만 3천 명 증가하였다. [그림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실업률이 2008년 3.2%에서 2017년 3.7%로 비교적 완만한 상승세를 보인 데 반해, 청년실업률은 2008년 7.1%에서 2017년 9.8%로 보다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e-나라지표, 2018). 2018년 기준 전체 실업자 수 112만 1천 명 가운데 청년 실업자가 41%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18).
대학 졸업 이후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은 청년기의 가장 큰 과업이다. 원가족과 분리되어 청소년기에서 성인 전기로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시기인 청년기의 실업 상황은 경제적 독립을 어떻게 하여 결혼과 같은 발달과업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는다(Ehlert, 2012). 경제적인 독립을 하지 못한 청년은 그 부모의 부양대상이 되며, 이로 인해 부모세대의 노후근로가 가중된다. 또한 장기간 구직상태에 있는 청년층은 잠재적 노동수요자들에게 '부적절한 노동자'로 인식된 오점효과를 경험하게 되며(O'Higgins, 2001) 그리하여 장기간 취업이 좌절될 경우 구직단념자가 되거나 하향취업을 선택하게 된다(진선미·공정석, 2011). 고용절벽 앞에 내몰린 청년 세대는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집, 꿈, 희망 등을 포기했다하여 '3포, 5포, 7포, N포 세대' 등의 용어들로 불리고 있다.
참고 자료
성유지, 「청년고용정책 참여유형이 청년대졸자의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역대 최대라는 20조 일자리 예산, "대체 누가 받나요", 국민일보, 2019.02.19.,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62593
"일자리 정책의 명암", 전북일보, 2020.11.18.,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96302
"정부 일자리는 고용 해법 아니다.", 서울경제, 2020.11.18.,
https://www.sedaily.com/NewsView/1ZAGF9KZVJ
"청년 일자리·정책 관련 참신한 아이디어 제시", 경상일보, 2020.11.04,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7867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하는 이유", 여성신문, 2015.12.15.,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203
허현자,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연구」, 세종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구리시, 코로나19 '희망일자리' 참여자 1500명 모집” 뉴시스, 2020.07.14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714_0001095149&cID=10804&pID=1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