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경상대 사학과 서양사학개설1 기말고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서양 고대
: 오리엔트 문명+고대 그리스 문명+기독교=고대 로마
● 서양 중세
: 프랑크 왕국은 고대 로마의 구조와 질서체계를 적극적으로 수용
고전고대의 질서와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어려움을 그리스도교라는 매개체로 해결
● 서양 중세의 시대구분
: 1. 중세 형성기(민족 이동기)- 5세기 말~10세기
2. 중세전성기-11세기~13세기
3. 중세해체기(근대로의 이행기)-14세기~18세기
● 중세형성기(민족 이동기)
: 프랑크 왕국-메로빙거 왕조(486-751)와 카롤링거 왕조(751-888)
클로비스의 개종-피핀의 도유식(751)-카롤루스 마그누스의 대관식(800)
카롤링거의 르네상스
베르딩 조약(843)과 메르센 조약(870)
주종제와 고전적 장원제 수립
● 카롤링의 르네상스
: 프랑크 왕들과 성직자들에 의해 위로부터 추진된 사회 개혁 운동
8세기 말에 시작되어 9세기 말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를 거쳐 계속되었으며 유럽 사회가 모든 면에서 그리스도교 적 사회로 변화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
카롤링거 르네상스의 주요 목표는 실제적 종교교육을 통해 프랑크 사회의 모든 국면을 변형시키는 것
카롤링거 르네상스는 문화부흥을 수반
수도원과 교회의 부속학교를 설립하고 라틴어를 교육
카롤링 ‘소문자’체는 주로 코르비 수도원에서 개발된 것으로 오늘날의 ‘소문자’체는 여기에서 기원
● 870년 메르센 조약
샤를르 대머리왕은 동프랑크의 루트비히 2세는 870년 8월 8일 메르센에서 엑스라샤펠, 브장송, 강브레, 리옹과 비엔느는 서프랑크로 귀속되는 새로운 협약을 체결.
중세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서프랑크, 중세의 독일에 해당하는 동프랑크와 이탈리아의 국경선이 확정→ 서유럽 세 국사의 근대 국가의 출발
● 중세전성기
: 정치- 현재 유럽국가의 기초 정립, 영주권의 강화
사회 경제- 장원경제에서 교환경제로, 도시와 시민층의 성장
종교- 교회 내부의 개혁 운동과 교황권 확립과 교황권 확대, 십자군 전쟁과 고딕 양식, 스콜라 철학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