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사는 것’은 모든 인간들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이다. 현대에 이르러, ‘건강’의 범주에 단순히 신체적인 건강뿐만이 아닌, 정신적인 건강 역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신영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진단 역시 시대가 흐를수록 세분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정신장애를 분류하는 대표적인 체계 중 하나가 바로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가 발행하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이다. DSM은 1952년 발행된 DSM-Ⅰ을 시작으로, 6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3년 5월 18일에 DSM-5가 출판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글에서는 DMS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그중에서도 현행 DSM-5의 특징을 DSM-Ⅳ와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 Rita Wicks-Nelson & Allen C. Israel(2015).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정명숙 외. ㈜시그마프레스:서울
· 고진경(2013). DSM-5의 변화와 문제에 대한 개관. 한국심리치료학회지, 5(2), 1-11.
· 김청송(2016). DSM의 변천사와 시대적 의미의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3), 475-493.
· 반신환(2010). DSM-5 시안 및 그 비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010(11), 133-150,
· 차훈진(2014).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의 변천과정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10(3), 129-144.
· 추연구(2014). DSM-5의 개정에서 본 발달장애의 새로운 진단명과 진단 기준 그리고 ASD의 명칭 도입과 ADHD의 변화. 발달장애연구, 18(4), 157-177.
· 최성진(2013). DSM-5의 개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119-11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