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뼈대근육(골격근, skeletal muscle)의 일반적인 특징
1) 뼈대근육의 붙는 부분
2) 근육섬유와 힘줄의 배열에 따른 뼈대 근육의 모양
3) 뼈대근육의 신경지배
4) 뼈대근육의 집단작용
5) 뼈대 근육의 부속기관
3. 사람 몸의 부위별 뼈대근육
1) 머리근육
2) 앞가쪽목근육
3) 몸통근육
4. 팔근육
1) 어깨근육
2) 위팔근육
3) 아래팔근육
4) 손근육
5. 다리근육
1) 넓적다리근육
2) 종아리근육
3) 발근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육조직(muscular tissue)은 근육세포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세포는 근육을 이루는 기본 단위로서 근육섬유(근육섬유, muscle fiber)라고도 불린다. 결합조직은 근육을 이루고 있는 여러 단위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신경과 혈관의 통로가 된다.
우선, 근육조직은 크게 뼈대근육, 심장근육, 민무늬 근육 이 3가지로 나누어진다.
뼈대근육(골격근. skeletal muscle)은 사람 모의 뼈대계통 및 이와 연관된 구조에 부착하는 근육으로 머리, 목, 몸통 및 팔다리를 이루는 근육이다, 또한 뼈대 근육은 혀, 입천장, 인두, 후두 및 식도의 위부분과 같은 일부 내장기관에서도 관찰된다. 하나의 뼈대근육은 여러 개의 근육다발(근속, muscle fascicle)이 모여 형성된 것이며, 각 근육다발은 다시 여러 개의 근육세포[근세포, muscle cell; 근육섬유(근섬유), muscle fiber]가 모여 이루어 진다. 뼈대근육을 구성하는 각 단위는 결합조직성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근육세포는 근육섬유막(근내막, endomysium)으로, 그리고 각 근육은 근육다발막(근외막, perimysium)으로, 그리고 각 근육은 근육바깥막(근상막, epimysium)으로 둘러싸여 있다.
심장근육(심근, cardiac muscle)은 심장벽의 주된 구성분인 심장근육세포(심근세포, cardiac muscle cell)는 직경이 15µm, 길이가 85~100µm 정도이며, 보통 세포의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핵을 갖고 있고 뼈대근육세포와는 달리 그 끝이 갈라져 있다. 심장근육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 제대로근이지만 심장근육세포 근육형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근육원섬유(myofibril)의 구조는 뼈대근육세포에서와 유사하게 가로무늬를 가지고 있다. 이웃한 심장근육세포들은 사이원반(윤반, intercalated disc)이라 불리는 독특한 세포사이연접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