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및 원리
3. 초자 및 시약
4. 실험과정
5. 주의 및 참고사항
6. 참고문헌
7.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단량체와 라디칼 개시제의 정제가 왜 필요한가를 이해하고 특정 단량체인 스티렌과 특정 개시제인 BPO(benzoyl peroxide) 및 AIBN(2,2’-azo-bisisobutyronitrile)을 정제해 봄으로써 일반적인 단량체 및 개시제들의 정제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2. 이론 및 원리
모든 중합 반응에서 단량체의 순도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불순물이 중합 금지제 이거나 정지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경우 그 농도가 ppm 단위라고 할지라도 중합 속도 및 분자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Vinyl기
-CH=CH2로 표시되는 작용기로, 에틸렌(H2C=CH2)분자에서 수소 하나가 없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비닐이라 불리는 폴리염화 바이닐도 바이닐기를 가지는 염화 바이닐의 중합체이다.
-정제
화합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액체의 정제은 보통 증류 또는 분별 증류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기체 역시 온도를 낮추거나 압력을 가하여 액화시킨 다음 액체와 같은 방법으로 정련할 수 있다. 기체와 액체는 특정한 용매로 원하는 물질만 녹여내는 (혹은 원하지 않는 물질만 녹여 제거하는) 용매 추출법을 통해 정제할 수도 있다.
많은 고체들의 경우 혼합 용액에서 결정을 키워 정제할 수 있다. 결정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원소만이 모이고 다른 것들은 배제된다.
일반적으로 정제법에는 단순 증류, 재결정, 추출, 승화, 그리고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축합중합에서 사용되는 단량체들의 정제에서는 화학양론적 당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들이 완전히 제거 되어야만 한다.
비닐 단량체의 정제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단량체의 종류, 예상되는 불순물,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합방법이다. 즉 라디칼 중합인가, 이온 중합인가, 라디칼 중합이라도 수용성 에멀젼 중합인가 또는 괴상중합인가, 이온 중합일지라도 양이온 중합인가, 음이온 중합인가에 따라 택해야 할 정제방법이 다르다.
참고자료
· vinyl기
· 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C%9D%B4%EB%8B%90%EA%B8%B0
· 정제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A0%A8
· 단량체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B%9F%89%EC%B2%B4
· 고분자
·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B%B6%84%EC%9E%90
· [Stevens]Polymer Chemistry: An Introduction 3/E
· 개시제
· Grafting Reaction of unsaturated molecule by free radical initiator to polyethylene functionalization/ Ung Il Kang/ Korea 500 757
· polymerization에 이론 및 원리
· https://en.wikipedia.org/wiki/Polymerization
· https://en.wikipedia.org/wiki/Step growth_polymerization
· https://en.wikipedia.org/wiki/Chain growth_polymerization
· https://en.wikipedia.org/wiki/Ring opening_polymerization
· Mechanism of radical polymerization
· Grafting Reaction of unsaturated molecule by free radical initiator to polyethylene functionalization/ Ung Il Kang/ Korea 500 757
· AIBN해리
· The Effect of Initiator Encapsulation on Methyl Methacrylate Polymerization by Isothermal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Seok Min Lee
· 재결정
· https://ko.wikipedia.org/wiki/%EC%9E%AC%EA%B2%B0%EC%A0%95
· 증류
· https://ko.wikipedia.org/wiki/%EC%A6%9D%EB%A5%98
· https://en.wikipedia.org/wiki/Steam_distillation
· https://en.wikipedia.org/wiki/Fractional_distillation
· https://en.wikipedia.org/wiki/Vacuum_distillation
· 라디칼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A6%AC%EA%B8%B0
· 시약 https://pubchem.ncbi.nlm.nih.gov/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