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사회생활 장애- 타인에 대해 빈정대며 말하는 모습을 관찰함.- 타인에게 분노를 잘 나타내며, 공격적인 성향을 보임.
② 자살시도
③ 우울
④ 불안- “새로운 사람을 만나도 언젠가 버려질까 무서워 친해지지 못하겠어요.”- “엄마마저 나를 버릴 것 같아 불안해요”
⑤ 외로움- “저는 친구가 없어서 외로워요.”
⑥ 적대적 태도- “혼자 있는건 싫은데 다들 나한테만 뭐라고 해서 말하고 싶지도 않아요.”- 새로운 간호사가 인사를 하자 무시하는 등의 사람에 대한 경계성을 보임.
⑦ 의존적 태도- “저한테는 000선생님밖에 없는거 알죠? 그런데 선생님 오늘 저랑 왜 말을 많이 안해요?”
<중 략>
3.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직장 동료들과 이야기 하는게 어려워요.”
● “저한테는 000선생님밖에 없는거 알죠? 그런데 선생님 오늘 저랑 왜 말을 많이 안해요?”
● “새로운 사람을 만나도 언젠가 버려질까 무서워 친해지지 못하겠어요.”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경계성 성격장애
● 자살 시도 후 정신과 입원했다 우울 증상 호전되어 퇴원 후 외래 치료 중
● 가족 : 어머니(아버지 돌아가심, 외동, 미혼)
● 지지체계 : 어머니(동거가족)
● 외래치료 대기 중 웃으며 인사하다가 진료가 지연되자 갑자기 간호사에게 소리 지르며 화를 내는 모습이 관찰됨.
● 타인에게 분노를 잘 나타내며, 공격적인 성향을 보임.
● 사람에 대한 경계성이 관찰됨→ 새로운 간호사가 인사를 하자 무시하는 등의 사람에 대한 경계성을 보임.
● 타인에 대해 빈정대며 말하는 모습을 관찰함.
● 의료진에게 의존적인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부적절한 감정표현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장기목표
1. 대상자는 세 달 내 타인과의 관계에서 만족감을 얻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두 달 내 대인관계기술(시선 맞추기, 적절한 얼굴표정, 고마움 표시하기 등)을 사용하여 대화한다.
3. 대상자는 한 달 내 타인과 대화 시 비꼬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