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책 및 교육이슈 분석 - 마을교육공동체
- 최초 등록일
- 2022.10.09
- 최종 저작일
- 2022.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교육정책 및 교육이슈 분석 -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정책 분석
1) 사회적 분위기
2) 연구문제
2.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논의과정
1) 개념
2) 논의의 전개과정
3) 찬반 논쟁
4) 분석내용
3.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정책 함의 분석
1)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정책 분석
□ 사회적 분위기
○ 산업화와 도시화의 급진전으로 인해 공동체였던 마을이 해체되고 거대 도시가 그 자리를 차지하면서 배움과 삶을 잇는 교육적 상호작용이 어렵게 되었다.
○ 21세기는 변동적이면서 불안정하고, 확실하지않고, 복잡하고 애매모호한 시대이다. 교육의 문제를 포함하여 이제 누구 혼자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다. 집단지성이 주도하는 사회가 되어야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붕괴한 공동체를 회복해야 한다.
□ 연구문제
○ 마을교육공동체와 관련하여 현황과 쟁점을 알아보고 Fowler(2004)의 논의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와 관련한 행간의 의미를 탐색
<중 략>
□ 분석내용
1. 이 정책을 시행 시 교육적인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가?
- 긍정 : 마을에는 특정 분야에서 학교의 교사들보다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지역 기관들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학교가 이들과 협업하고 마을의 물적 자원을 발굴하여 활용하면 보다 다양하고 풍성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 부정 : 아이들에게 불량 식품을 팔지 못하게 하고 숲을 지키고 모텔이 들어서는 것을 막아내는 것이 마을이다. 그런데 그런일에는 관심조차 없으면서 아이들에게 마을에 벽화를 그리게 한다고 해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마을교육공동체가 된다고 할 수 없다.
참고 자료
서용선, 교육공동체 벗, 마을공동체란 무엇인가(2016)
하정호, 교육공동체 벗, 마을교육공동체가 주의해야 할 몇가지(2016)
양병찬, 한국평생교육학회, 한국마을교육공동체 운동과 정책의 상호작용(2018)
도성훈, 2020 겨울호 교육개발, 마을교육공동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다!(2020)
송두범, 양병찬, 강수현, 충청남도 마을교육공동체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2016)
신서영, 박창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마을교육공동체의 현황과 쟁점(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