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성상파괴주의와 성상옹호주의> 서평 발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서구에 가해진 폭력
3. 이원론
4. 로고스 중심주의
5. 기독교 역사 내부에서의 성상 파괴주의
6. 초월적 인식의 배제로 인한 성상 파괴주의: 개념주의, 합리주의, 경험주의, 실증주의
7. 이미지 옹호의 흐름: 상상계의 저항들
8. 이미지 폭발의 시대: 성상 옹호주의의 승리?
9. 결론
본문내용
서론
(page2)이 책의 저자는 진형준 교수입니다. 불어불문학을 전공했고, 한국문학 번역원장과, 상상계 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한 문화평론가입니다. 저자의 관심은 이미지-정보화 시대를 분석하는 데 있습니다. 이미지는 무엇이고, 그것을 해석하는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연구하는 가운데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이 책을 의도적으로 기획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미지 그리고 상상력이라고 하는 인식 방법의 역사를 쫓다 보니 자연스럽게 서구권의 사상적 뿌리를 캐내게 되었고, 그 안에 성상 파괴주의와 성상 옹호주의라고 하는 두 개의 커다란 인식 방법의 축이 존재했음을 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는 이 책을 꼭꼭 씹어 읽었습니다. 왜냐하면, 조금은 의심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서구의 장엄한 사상의 변천을 너무 단순하게 환원한 것은 아닌가 하는 경계심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논지의 연계를 살펴보면서 깐깐하게 이 책을 읽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어쩌면, 책의 분량이 짧아서 가능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나도 이런 논문을 쓸 수 있다면 참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참고자료
· 이원론에 관한 책
· 헤르만 헤세, 『데미안』(민음사).
· 메리 보이스, 『조로아스터교의 역사』(민음사).
· 그리스도교 인식론에 관한 책
· 제임스 K. A. 스미스,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라』(IVP).
· 로완 윌리엄스, 『인간이 된다는 것』(복있는사람).
· 기타
· 알랭 드 보통, 『뉴스의 시대』(문학동네).
· 한병철, 『에로스의 종말』(문학과지성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