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번에 한 대상자의 약물을 준비한다. 대상자의 투약기록지 혹은 컴퓨터 출력물들은 함께 둔다.
→ 시간을 절약하고 실수를 줄이기 위함
· 병실 약국에서 가져온 약물 중 현재 투약할 약물을 꺼내서 투약기록지, 컴퓨터 출력물과 약물 라벨을 비교한다.
→ 약물 준비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첫 번째 확인과정.
· 단위용량 정제나 캡슐은 포장을 제거하지 않고 포장된 채로 투약컵에 바로 담는다.
→ 포장이 되어 있어야 청결유지가 되고 약물명과 용량을 확인할 수 있음.
· 투약 전에 맥박이나 혈압 측정이 필요한 약물을 제외하고 모든 알약 혹은 캡슐은 한 컵에 준비한다.
→ 투약 전 대상자의 사정이 필요한 약물을 따로 두면 사정 후 중단하기 쉬움.
· 연하곤란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알약을 유발기에 갈아 커스터드나 사과소스 같은 소량의 음식에 섞어서 먹게 한다.
→ 큰 알약은 삼키기 어려우므로 갈아서 연식과 혼합하면 삼키기 쉬움
· 용기를 가볍게 흔든다. 뚜껑이 있다면 뚜껑의 바깥쪽 부분이 바닥 쪽에 닿도록 놓는다
→ 투약전에 약물이 섞이도록 함. 뚜껑 안쪽의 오염예방을 위해 바깥쪽을 바닥에 놓음.
· 약물을 따를 때는 약병의 라벨이 손바닥 쪽으로 오도록 잡는다
→ 약물이 흘러 라벨에 쓰인 글씨가 지워지지 않게 하기위함
· 투약컵은 눈높이로 들고 눈금은 용기와 닿아있는 가장자리가 아닌 오목한 면의 기저면을 읽는다,
→ 약물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
· 약병의 입구는 종이타월로 닦는다.
→ 약물의 오염예방과 약뚜껑이 약병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위함.
· 준비된 약물 및 용기를 투약카드, 컴퓨터 출력물과 대조한다
→ 라벨을 두 번 읽어 투약과오를 줄임.
· 병동 저장 용기 혹은 사용하지 않은 약물을 약장 및 서랍에 넣으면서 대상자의 이름을 다시 확인한다.
→ 라벨을 세 번째 검토하여 투약과오를 줄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